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작년 1인당 국민소득 3만 2천 달러…10년 만에 최대폭 감소

작년 1인당 국민소득 3만 2천 달러…10년 만에 최대폭 감소
지난해 달러화 기준 한국의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10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쪼그라들었습니다.

연간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속보치와 같은 2.0%를 나타냈습니다.

작년 4분기 성장률은 1.3%로 속보치보다 0.1%포인트 올라갔습니다.

물가 변동을 그대로 반영한 명목 GDP 성장률은 1.1%로 외환위기 이후 가장 낮았습니다.

한국은행이 오늘(3일) 발표한 '2019년 4분기 및 연간 국민소득(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1인당 GNI(달러화 기준)는 3만2천47달러로 전년(3만3천434달러)보다 4.1%(1천387달러) 줄었습니다.

이 같은 감소폭은 금융위기 때인 2009년(-10.4%) 이후 최대입니다.

가장 최근 1인당 GNI가 감소한 적은 2015년(-1.9%)이었습니다.

명목 GDP 성장률이 실질 GDP 성장률을 밑돈 가운데 지난해 원화 약세가 달러화 표시 소득을 끌어내린 영향입니다.

지난해 달러화 대비 원화 가치는 2018년 대비 5.9% 하락했습니다.

원화 기준 1인당 GNI는 전년 대비 1.5% 늘어난 3천735만6천원이었습니다.

한국은 지난 2017년(3만1천734달러) 국민소득 3만 달러 시대를 연 바 있습니다.

박양수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1인당 국민총소득 감소와 관련해 "시장에서 결정되고 변동성도 높은 환율을 이용하는 달러화 환산 1인당 GNI의 하락에 대해서는 해석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며 "만약 지난해 원/달러 환율이 2018년과 같았다면, 1인당 GNI는 전년 대비 1.5% 늘어난 3만3천951달러가 됐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한은은 지난해 실질 GDP 성장률 잠정치를 연 2.0%로 발표했습니다.

지난 1월 발표한 속보치와 같습니다.

이에 비해 4분기 실질 GDP는 전기 대비 1.3% 성장해 속보치 대비 0.1%포인트 상향 조정됐습니다.

지식재산생산물투자(-0.3%포인트) 등이 하향 조정된 반면 설비투자(1.8%포인트), 건설투자(0.7%포인트), 민간소비(0.2%포인트)가 상향 조정된 영향입니다.

연간 기준으로 성장 기여도는 민간이 0.5%포인트, 정부가 1.5%포인트를 각각 차지했습니다.

한은 관계자는 "수출 둔화 등 민간 부문의 성장세가 약화한 가운데 정부가 재정을 확장적으로 운영한 데 따른 영향"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지난해 명목 GDP는 1천914조 원으로 전년 대비 1.1% 성장했습니다.

명목 성장률은 외환위기 때인 1998년(-0.9%) 이후 21년 만에 가장 낮았습니다.

명목 GDP 성장률 둔화는 반도체 가격 하락으로 교역조건이 악화한 탓입니다.

실질 GDP 성장률이 같아도 명목 GDP 성장률이 낮으면 경제주체가 성장을 체감하기 힘듭니다.

명목 GDP를 실질 GDP로 나눈 값인 GDP 디플레이터는 전년 대비 0.9% 하락했습니다.

2006년(-0.2%) 이후 13년 만의 감소지만, 하락폭은 1999년(-1.2%) 이후 20년 만에 가장 컸습니다.

GDP 디플레이터는 소비자에게 밀접한 물가만 측정하는 소비자물가지수와는 달리 국내에서 생산한 수출품과 투자재 등을 포함한 국민경제 전반의 종합적인 물가수준을 보여줍니다.

반도체 등 주요 수출품목의 가격 급락으로 인해 수출 디플레이터가 크게 하락하면서 GDP 디플레이터를 끌어 내린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총저축률은 34.6%로 1년 전보다 1.2%포인트 하락했습니다.

2012년(34.5%) 이후 7년 만에 가장 낮았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