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중국서 점유율·이익률 계속 떨어진다…"중장기전략 다시 짜야"

중국서 점유율·이익률 계속 떨어진다…"중장기전략 다시 짜야"
중국 시장에서 한국 기업의 점유율이 계속 떨어지고 영업이익률도 낮아지고 있어 대중 중장기 전략을 다시 세워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습니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오늘(18일) 유엔의 세관통계 데이터베이스 '유엔 컴트레이드'(UN Comtrade) 자료를 바탕으로 2010년∼2019년(1∼11월) 중국 수입시장의 한국, 일본, 미국, 독일 등 상위 4개국 시장점유율을 분석했습니다.

이 자료에 따르면 중국에서 한국의 시장점유율은 2015년 10.4%를 정점으로 하락하기 시작해 지난해 8.5%로 낮아졌습니다.

전경련은 2015년부터 중국 정부가 '중국 제조 2025'를 표방하며 자국 기업에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원을 시작한 것이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습니다.

실제로 한국뿐 아니라 일본의 중국시장 점유율도 같은 기간 8.5%에서 8.3%로 낮아졌고, 미국은 8.9%에서 6.0%로, 독일은 5.2%에서 5.1%로 모두 하락했습니다.

중국 내수용 수입시장(가공·보세무역 등 제외한 일반무역) 점유율 역시 한국은 2011년 6.0%에서 2016년 7.9%로 최고점을 찍은 후 2018년 5.4%로 2.5%포인트 하락했습니다.

일본은 2011년 12.4%에서 2018년 9.9%로, 미국은 같은 기간 9.6%에서 7.8%로, 독일은 9.1%에서 7.7%로 각각 내려갔습니다.

글로벌 생산기지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아세안이 같은 기간 10.2%에서 12.1%로 중국에서 시장점유율을 높이며 성장했습니다.

중국에 진출한 한국기업의 실적도 악화하고 있습니다.

한국수출입은행 자료를 보면 재중 한국 기업의 투자액 대비 매출액은 2013년 7.3배를 정점으로 매년 하락해 2017년 4.5배로 낮아졌습니다.

영업이익률은 2013년 4.9%로 최고점을 찍은 뒤 등락을 거듭해 2017년 3.8%로 떨어졌습니다.

전경련은 작년까지 반도체 단가 급락, 스마트폰·승용차 판매 부진 등이 계속되면서 전기·전자, 자동차 분야의 중국 시장 점유율이 큰 폭으로 하락했다고 분석했습니다.

중국에서 한국 브랜드 자동차 점유율은 2014년 9.0%에서 작년 1분기 4.8%로 떨어졌고, 삼성 휴대폰 점유율은 2014년 1분기 19.0%에서 작년 1분기 1.0%로 급감했습니다.

전경련은 지난달 미국과 중국이 1단계 무역 협상을 타결하면서 미국 기업의 중국 진출이 가속화되고 한국기업의 점유율이 더 낮아질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습니다.

엄치성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중국은 작년 말 1인당 국내총생산(GDP) 1만 달러 시대에 접어들고 내수 개방을 확대하고 있다"며 "한국 기업들이 이를 기회로 삼아 중장기 전략을 다시 짤 필요가 있다.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글로벌 공급망 다변화도 검토해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