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1천 대 기업 10곳 중 6곳은 '코로나19 사태'로 경영악화 우려

국내 기업 10곳 가운데 6곳은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경영 악화를 예상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이 시장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매출액 1천 대 기업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사태의 영향을 설문 조사한 결과 응답 기업의 61.8%는 코로나19 사태가 경영에 악영향을 초래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중국에 생산시설을 보유한 기업 가운데는 83.9%가 악영향을 예상한다고 답했습니다.

이번 사태가 지난 2002~2003년 9개월간 계속된 사스 사태나 2015년 8개월 이어진 메르스 사태처럼 6개월 이상 장기화할 경우 올해 매출액과 수출액은 지난해보다 각각 8.0%, 9.1%씩 감소하고, 대 중국 수출액은 12.7%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6개월 안에 진정되는 경우에도 매출액과 수출액 모두 3.3%, 5.1%씩 줄어들고, 대 중국 수출액은 6.8%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사태가 장기화할 경우 업종별 매출액 감소율은 자동차 -13.9% , 자동차부품 -12.8%, 석유제품 -12.4%, 일반기계 -11.0% 순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수출액 감소율은 석유제품 -17.8%, 자동차 -14.5%, 일반기계 -11.6%, 자동차부품 -11.0%, 석유화학 -10.0% 순으로 예상됐습니다.

단기간에 사태가 정리되는 경우 매출액 감소율은 무선통신기기 -8.4%, 자동차 -7.3%, 석유제품 -6.0%, 일반기계 -5.9%, 자동차부품 -4.0% 순이었으며 수출액 감소율은 석유제품 -10.5%, 무선통신기기 -10.1%, 자동차 -9.9%, 일반기계 -7.7%, 자동차부품 -4.6%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코로나19 사태에 대한 기업들의 대응 방안으로는 중국 현지 출장 자제 34.3%, 현지 방역 활동 강화 10.5%, 임직원 국내소환 또는 재택근무 10.2%, 현지 경영활동 축소 6.7% 등이 꼽혔으며 별다른 대응 방법이 없다는 답변도 30%에 육박했습니다.

정부에 기대하는 정책지원으로는 국내외 전염상황 등에 관한 신속한 정보공유 57%와 확산 예방을 위한 방역체계 강화 21.2%, 기업활동 지원을 위한 정부 간 협력 9.5%, 중화권 수출기업 지원 6.4%, 경제주체 소비·투자 여력 확대 6%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유환익 한경연 혁신성장실장은 "정부가 수출·통관 지원 강화, 자금지원 및 융자 확대 등 적극적으로 피해 기업 지원에 나설 필요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