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신종 코로나 미·중 갈등으로 번져…'음모론' 놓고 설전

신종 코로나 미·중 갈등으로 번져…'음모론' 놓고 설전
▲ 추이텐카이 미국 주재 중국 대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 중국 전역은 물론 전 세계로 확산하는 가운데 이와 관련된 '음모론'을 놓고 미국과 중국의 설전이 벌어졌습니다.

추이텐카이 미국 주재 중국대사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확산과 관련한 루머를 겨냥해 패닉과 인종차별을 일으킨다고 경고했습니다.

추이 대사는 미 CBS방송과의 인터뷰에서 공화당의 톰 코튼 미 상원의원이 신종 코로나가 중국의 생화학전 프로그램에서 비롯됐을 수 있다는 의혹을 제기한 것과 관련, "매우 해롭다. 의심과 루머를 일으키고 퍼뜨리는 건 아주 위험하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패닉을 조장하는 것이고 인종적 차별, 제노포비아를 부채질하는 것"이라며 "이 모든 것은 신종 코로나에 대응하는 공동 노력을 정말로 해친다"고 비판했습니다.

추이 대사는 "많은 것이 아직 파악되지 않았다"면서 "중국과 미국, 다른 나라의 과학자들이 신종 코로나에 대해 더 많은 것을 알아내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코튼 의원은 추이 대사의 인터뷰가 끝나고 트위터에 "음모나 이론이 아니라 사실"이라며 기존의 주장을 고수했습니다.

대중국 강경파인 코튼 의원은 최근 의회 청문회에서 "신종코로나는 체르노빌보다 더 심각한 세계 최대의 문제"라며 "중국은 처음부터 신종코로나의 기원에 대해 거짓말을 해왔다"고 주장했습니다.

코튼 의원은 "초기 40명의 감염자 중 14명은 수산시장과 아무런 관련이 없다"며 "우한에는 세계에서 가장 치명적인 병균을 연구하는, 중국의 유일한 생물안전 4급 '수퍼실험실'이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생물안전 4급 실험실은 에볼라 바이러스 등 치명적인 병균을 연구할 수 있는 곳으로, 이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이 실험실에서 유출됐을 가능성을 시사한 것입니다.

미국의 음모론자 등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중국의 생화학전 프로그램에서 나왔다는 주장을 펴왔습니다.

여기에 맞서 홍콩, 러시아 등에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를 미국이 만들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고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등 외신은 전했습니다.

홍콩의 친중파 유튜버인 조나단 호는 미국이 중국에 대한 전방위 공격의 일환으로 중국 본토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를 살포했다는 주장을 펼쳤습니다.

러시아의 '채널 원'이라는 TV 방송도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미국이 아시아인을 겨냥해 만든 '민족적 생화학무기'라는 주장을 폈다고 외신은 전했습니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음모론은 시대의 걱정과 불안을 먹고 사는 기생충과 같다"며 "지금은 전 세계로 확산하는 전염병과 미국과 중국의 갈수록 격화하는 대결 구도를 배경으로 음모론이 횡행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사진=AP,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