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신종 코로나 불안…올들어 국내 주식펀드서 2조 원 순유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신종코로나) 공포가 시장에 드리운 가운데 올해 들어 국내 주식형 펀드에서 2조 원가량의 자금이 빠져나갔습니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가 집계한 설정액 10억 원 이상 국내 주식형 펀드 961개의 설정액은 지난 7일 기준 총 54조3천355억 원으로 연초 이후 2조32억 원 감소했습니다.

국내 주식형 펀드를 유형별로 보면 연초 이후 액티브 펀드 575개에서 4천529억 원, 인덱스 펀드 386개에서 1조5천503억 원이 각각 순유출됐습니다.

최근 3개월로 집계 기간을 확대하면 액티브 펀드에서 1조1천624억 원이 순유출됐으나 인덱스 펀드에 1조7천69억 원이 순유입돼 국내 주식형 펀드는 전체적으로 총 5천445억 원 순유입을 기록했습니다.

따라서 올해 들어 인덱스 펀드가 순유출세로 전환하면서 전체 국내 주식형 펀드의 자금 유출입 기조도 순유출세로 돌아선 점을 알 수 있습니다.

상품별로는 연초 이후에 '신영밸류고배당증권자투자신탁(주식)운용'(-455억 원), '베어링고배당플러스증권투자신탁(주식)'(-441억 원) 등 배당주 펀드의 설정액 감소 폭이 컸습니다.

반면 안전자산으로 분류되는 국내 채권형 펀드에는 연초 이후 2천626억 원이 순유입돼 자금 유출입이 주식형 펀드와 반대 흐름을 보였습니다.

또 최근 3개월간 자금이 순유입된 국내 주식형 펀드와 대조적으로 국내 채권형 펀드에서는 이 기간 3조2천879억 원이 순유출되기도 했습니다.

해외 주식형 펀드 중에서는 신종코로나의 발원지인 중국의 주식에 투자하는 중국 펀드가 연초 이후 2천234억 원 순유출을 기록해 자금 유출 규모가 가장 컸습니다.

반면 글로벌 펀드(2천357억 원), 북미 펀드(635억 원) 등에는 이 기간 오히려 자금이 들어오면서 해외 주식형 펀드 781개 전체로는 269억 원 순유입을 기록했습니다.

최근 신종코로나 확산 여파로 세계 금융시장 변동성이 커지고 투자심리가 얼어붙으면서 주식을 비롯한 위험자산 회피 현상이 강해졌습니다.

나중혁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올해 들어 1월 중반까지는 미국·이란 간 긴장 관계 고조에도 1단계 미중 무역합의 서명에 따른 기대로 위험자산이 상대적인 우위를 보였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1월 중후반 이후 신종코로나 사태 확산이 위험자산의 차익 실현 욕구를 끌어내는 가운데 채권, 금 등 전통적인 안전자산군으로 자본 이동이 거세게 나타났다"고 덧붙였습니다.

연초에 한 달여간 호재와 악재가 번갈아 나타나면서 증시가 널뛰기 장세를 이어간 가운데 지난 7일까지 코스피와 코스닥은 각각 0.65%, 0.42% 상승했습니다.

이에 따라 연초 이후 국내 주식형 펀드의 평균 수익률은 1.51%로 마이너스를 면했으나 최근 3개월(6.17%), 6개월(20.80%) 평균 수익률과 비교하면 저조한 성적입니다.

또 같은 기간 해외 주식형 펀드 중 중국 펀드 평균 수익률은 -1.88%로 손실권이었으나 북미 펀드(3.52%), 글로벌 펀드(3.39%) 등은 플러스 수익률을 기록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