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신종 코로나, 감염도 두렵지만…주위 비난 더 무서워"

"신종 코로나, 감염도 두렵지만…주위 비난 더 무서워"
우리나라 국민은 자신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이하 신종 코로나)에 감염될 가능성은 작게 보지만 감염될 경우 건강 영향 등 피해는 심각할 것으로 보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서울대 보건대학원 유명순 교수팀(한국헬스커뮤니케이션 학회장)이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1천명 긴급 설문조사(조사 기간 1월 31일~2월 4일)를 한 결과에 따르면 '신종 코로나에 감염될 가능성이 높다'고 여기는 응답은 12.7%에 불과했습니다.

하지만 73.8%는 감염될 경우 건강 영향 등 '피해가 심각하다'고 생각했습니다.

신종 코로나로 인해 일상 변화가 없다는 응답은 10.2%에 그쳐 지난 1월 20일 첫 확진 보고 이후 2주가 채 지나지 않았는데도 신종 코로나가 국민의 일상을 흔들고 있습니다.

상황별로 두려움을 느끼는 정도(5점 척도 기준)는 '내가 확진자가 됐을 때 주변으로부터 비난, 추가피해를 받는 것이 두렵다'는 응답이 평균 3.52점으로 가장 높았습니다.

이어 '무증상 감염되는 것'(3.17점), '주변에 증상이 의심되는데도 자가신고하지 않는 사람이 있을 것 같아 두렵다'(3.10점)가 뒤를 이었습니다.

신종 코로나 뉴스를 접할 때 떠오르는 감정으로는 불안(60.4%)이 압도적이었고, 공포(16.7%), 충격(10.9%), 분노(6.7%) 등의 순이었습니다.

응답자의 91.6%는 '신종 코로나 소식을 접할 때 메르스를 떠올린다'고 답했습니다.

또 절반가량인 49.3%는 신종 코로나가 '메르스보다 치명력이 더 클 것'이라고 여겼습니다.

신종 바이러스의 확산 위험에 대해 81.2%가 마스크를 착용('가끔', '자주, '항상' 포함)한다고 했고, '비누로 꼼꼼하게 손을 씻거나 소독제를 사용'하는 경우는 무려 98.7%에 달했습니다.

2015년 메르스 사태 때와 비교해 현재의 신종 코로나 대응 수준을 '나 자신', '우리 사회(일반 국민)', '정부'로 나눠 질문했을 때, '잘하고 있다'는 응답이 가장 높았던 것은 '우리사회(일반국민)(56.6%)였습니다.

우리 사회가 '대응을 못 하고 있다'는 응답은 14.1%에 그쳤습니다.

정부가 '대응을 잘하고 있다'는 응답이 44.1%로 '못하고 있다'(27%)와 '비슷하다'(28.9%)는 응답보다 많았습니다.

현재의 정부 대응에 대해 영역별로 질문한 결과, 보건당국의 환자 치료, 방역, 검역에 대한 평가는 대체로 양호한 것으로 나왔습니다.

이중 '감염 환자의 치료'는 응답자의 53.8%가 '중간'(3점)보다 높은 '잘하고 있다'(4점 혹은 5점)는 반응을 보였고 '잘못하고 있다'(1점 혹은 2점)는 16.7%에 그쳤습니다.

공항, 항구 등의 검역도 '잘하고 있다'가 41.1%로 '못하고 있다'(25.3%)보다 많았습니다.

그러나, 정부 대응 가운데 '언론 대응'이나 '국제외교적 조정'과 같이 바이러스 대응을 넘어 사회적 위기관리 측면에서는 각각 23%, 27%만이 '잘하고 있다'고 답했습니다.

'최근 일주일간 신종 코로나 관련해서 혐오 표현을 듣거나 본 적 있는지' 질문에는 60.4%가 '경험한 적이 있다'고 답했습니다.

또 42.1%가 "가짜임을 확인한 가짜 뉴스를 접한 적이 있다"고 답해 가짜 뉴스도 극성을 부리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가짜 뉴스 유포자들은 확실하게 처벌해야 한다는 의견에는 94.7%가 동의했습니다.

'우한 폐렴 대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으로 바꿔쓰기로 한 결정이 얼마나 적절하다고 보십니까'라는 질문에는 '적절한 편'(48.6%), '매우 적절'(17.4%) 등 긍정적인 응답이 66%에 달했습니다.

'해외 체류 교민의 안전을 위해 우한에서 국내로 이송한 것'에 대해서는 72.7%가 '찬성한다'는 의견을 밝혔습니다.

'해외 교민의 특정 지역 격리 수용', '자국민 보호를 위한 국내 거주 외국인 치료'에도 각각 87.1, 76.4%가 찬성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