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WHO "무증상 감염자, 신종 코로나 전파 가능성 인지"

WHO "무증상 감염자, 신종 코로나 전파 가능성 인지"
세계보건기구, WHO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와 관련해 무증상 감염자의 전파 가능성을 인지하고 있다고 거듭 밝혔습니다.

WHO는 일일 상황 보고서를 통해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자가 특정한 임상증상을 보이기 전에 바이러스를 전파할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있다."라고 전했습니다.

또, 임상사례들을 분석해 바이러스가 어떻게 전파됐는지 역학조사도 진행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그러면서도, 중동호흡기증후군 '메르스'에서 확인할 수 있었듯이 다른 코로나바이러스 질병에서 무증상 감염자 전파는 드물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것이 주요 전염 경로는 아닐 수 있다고도 덧붙였습니다.

아울러 현재까지 파악한 정보에 따르면, 주요 전염 경로는 증상을 보이는 환자에게서 다른 사람들에게 전파되는 경우로, 증상자가 기침이나 재채기 등을 통해 바이러스를 퍼뜨리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앞서 지난달 28일, WHO 린트마이어 대변인은 추가 정보와 조사가 더 필요하지만, 무증상 감염자도 바이러스를 옮길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습니다.

국제 의학 학술지 '뉴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신'도 지난달 30일 독일에서 확인된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자를 분석한 결과, 이 경우는 감염 증상이 없는 시기에 타인을 감염시킨 사례라고 보고했습니다.

'뉴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신'은 중국 상하이에서 독일로 출장을 온 중국인 여성이 무증상 상태에서 30대 독일인 남성을 감염시켰고, 이후 중국에 돌아가 확진 판정을 받았다고 밝혔습니다.

이후 이 독일인 남성은 발열 등 증상이 없는 상태에서 바이러스 검사 결과 양성 판정을 받았습니다.

더 나아가 이 독일인 남성 역시, 별다른 증상이 없는 상태에서 두 명을 추가로 더 감염시킨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도 지난달 31일, 이번 독일 '무증상 감염' 사례를 언급하며, "호흡기 질환 바이러스는 증상이 강하게 발현될 때 전염성이 크다고 알려졌지만, 이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는 증상 없는 감염자와 접촉해도 전파되는 사례가 있었다."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처럼 국제기구와 해외에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자가 무증상 상태에서 바이러스를 전파할 수 있는 가능성을 잇따라 제기해왔지만, 그동안 우리 보건당국은 "근거가 부족하다."라며 신중한 입장을 보여왔습니다.

그러다가 어제(2일), 중앙사고수습본부장인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이 언론 브리핑에서 처음으로, 이번 코로나 바이러스가 기존 감염 질병과는 다른 전파 유형을 보인다며 무증상 감염자 전파 가능성을 뒤늦게 인정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