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원자력 연구원 방사성 물질 방출 사고 '운영 미숙'이 원인

원자력 연구원 방사성 물질 방출 사고 '운영 미숙'이 원인
지난해 대전 한국원자력연구원 내 시설에서 발생한 방사성 물질 방출 사고는 '운영 미숙'이 원인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 22일 원안위는 한국원자력연구원 내 시설에서 방사성 물질이 방출되는 사고가 발생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원자로나 핵연료시험 등으로 발생하는 세슘137, 세슘134, 코발트60 등 인공방사성 핵종이 연구원 주변 하천토양에서 검출된 겁니다.

원안위는 연구원에서 사고 관련 보고를 받고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 사건조사팀을 사고 현장에 파견해 조사를 진행해 왔습니다.

원안위는 CCTV 영상과 각종 기록, 관련자의 진술을 토대로 작년 9월 26일 연구원 내 자연증발시설이 방사성폐기물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오염수가 유출된 것을 확인했습니다.

자연증발 시설은 연구원에서 나온 극저준위 방사성 액체 폐기물을 증발시키는 건물입니다.

액체 폐기물, 즉 오염수가 흐르는 관에는 필터가 있는데, 필터에 불순물이 쌓이게 되면, 유량이 줄어들기 때문에 밸브를 조절해 유량을 늘려야 합니다.

필터를 교체하면 불순물이 없어져 유량이 늘어나는데, 이때 밸브를 조절하지 않고 그대로 운영하면, 배출량이 급격히 증가해 오염수가 탱크 밖으로 넘칠 수 있다는 겁니다.

결국 밸브 상태를 점검하지 않고 시설을 운영해 오염수가 바닥으로 흘러 넘쳤고, 바닥과 외부를 연결하는 PVC 관을 타고 방사성 물질이 밖으로 새나온 겁니다.

시설운영자는 한 명이고 교대 근무조는 없습니다.

1991년부터 2017년까지 근무했던 시설운영자는 퇴직했고 2017~2018년에는 경력직원이, 지난해부터는 새로운 직원이 일하고 있습니다.

원안위는 원자력연구원에 자연증발 시설 사용정지 명령을 내리고, 조사를 계속할 예정입니다.

또 이 시설에서 방출된 방사성 물질이 연구원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토양을 제염하고 밀봉조치를 실시했습니다.

(사진=원자력안잔위원회 홈페이지 화면 캡처,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