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北, 개성연락사무소 남한 인원 "마스크 착용하라"…발열검사도 확대

北, 개성연락사무소 남한 인원 "마스크 착용하라"…발열검사도 확대
▲ 신종 코로나 확산 소식을 보도 중인 북한 조선 중앙 TV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유입 방지 총력전을 벌이고 있는 북한이 28일부터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에 출근하는 남측 인원에 대한 검역도 강화했습니다.

통일부는 "오늘(28일) 아침 북측에서 공동연락사무소 근무를 위한 우리측 인원에 대하여 마스크를 착용하여 달라는 요청"이 있었다고 밝혔습니다.

통일부는 또 이날부터 "우리측은 출경자에 대하여 복지부 검역관이 열화상카메라로 발열 검사를 확대하여 실시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기존에는 남북출입사무소에 입경하는 경우에만 발열 검사를 실시한 바 있습니다.

아울러 통일부는 방북자 전원에게 개인용 마스크 및 휴대용 손소독제를 지급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통일부 당국자는 바이러스 유입을 막기 위한 북한의 대응 조치와 관련해선 "북한과 중국 간 교통, 항공이 지금 안 되는 것으로 알고는 있다"며 계속해서 상황을 보겠다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북측에 이번 바이러스 대응을 위한 남북협력을 먼저 제안할 계획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남북 간 인적 접촉에 의한 신종 코로나 확산 가능성은 없다고 본다"며 말을 아꼈습니다.

또 "지금은 사실 우리 상황을 좀 봐야한다"라고 덧붙였습니다.

작년 5월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의 경우 북한에서 먼저 발병했지만, 이번 신종 코로나의 경우 남측에선 확진 환자가 확인됐지만, 아직 북한은 확진 사례가 공식적으로 나오지 않은 점을 염두에 둔 발언으로 풀이됩니다.

한편, 통일부 당국자는 최근 6년 만에 공개석상에 다시 등장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고모이자 처형된 장성택의 부인인 김경희 노동당 전 비서에 대해서는 "추가 직책 확인이 필요하다"고 신중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1946년생인 김경희는 2013년 9월 9일을 마지막으로 그해 12월 남편 장성택이 처형된 이후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습니다.

그러다 지난 25일 김정은 위원장 부부, 김여정 제1부부장 등과 함께 '설 명절 기념공연'에 참석하며 건재한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김경희와 관련해 통일부는 지난 2015년 발간한 '북한 주요기관·단체 인명록'에 모든 명단에서 삭제, 사실상 모든 직책에서 해임된 것으로 봤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