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중국 관광객 입국 막은 북한, 사스·에볼라 때도 국경 통제

중국 관광객 입국 막은 북한, 사스·에볼라 때도 국경 통제
북한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인 '우한 폐렴'을 막고자 중국인 관광객 입국을 금지하는 등 강력 조치에 나선 이유는 그만큼 전염병에 대응할 보건 역량이 취약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전염병을 초기에 잡지 못할 경우 국가 존립을 흔들 만큼 확산할 수도 있어 과거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과 에볼라 등 다른 전염병에도 강도 높게 대응해왔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26일 "신형코로나비루스(바이러스) 감염증에 대한 예방 대책을 철저히 세우기 위한 긴급조치들이 취해지고 있다"며 외국 출장자에 대한 의학적 감시와 의심환자 발생을 대비한 격리 사업 등이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다.

최근 북한은 평양-베이징 항공편을 취소하고 중국 관광객의 북한 입국을 금지하는 등 바이러스를 국경에서 차단하는 데 심혈을 기울이고 있는데 이런 조치는 과거에도 유사한 사례가 있다.

북한은 2015년 메르스가 중동에서 발병하자 이 지역의 공관 근로자와 파견 노동자의 귀국을 자제하라는 방침을 내렸다.

2015년 6월에는 한국 정부로부터 검역용 열 감지 카메라를 지원받아 개성공단에 출입하는 남측 인원에 대한 발열 검사를 했으며, 이 조치를 2016년 1월까지 유지했다.

또 남측 인원이 북측 출입사무소를 통과할 때 마스크를 착용하고 건강 상태 신고서를 제출하도록 했으며, 북측 인원과 접촉도 제한했다.

중국에서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가 한창 유행이던 2003년에도 북한은 평양-베이징 항공 노선을 차단하고 신의주 세관을 일시 폐쇄했다.

모든 입국자는 10일간 감염진단을 받아야 했으며 체온이 섭씨 37도 이상이거나 사스 징후가 의심되면 본국 송환하거나 병원으로 이송하겠다고 했다.

2003년 6월 제7차 이산가족 상봉 행사에 참여한 남측 가족들도 상봉에 앞서 사스 검역을 받았다.

외화벌이 수단인 금강산관광마저 사스 차단을 위해 2003년 4월 25일부터 62일간 중단했으며 재개 이후에도 관광객에 대한 검진을 계속했다.

2014년 아프리카에서 에볼라가 창궐하자 북한은 다시 외국인 입국을 통제했다.

외국인 관광객의 입국을 전면 금지하고 외교관과 사업 목적의 외국인 입국자들에게도 21일간의 격리·관찰 조치를 엄격히 시행했다.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과 최룡해 노동당 비서 등 외국을 다녀온 정권 실세도 격리 조치에서 예외가 아니었다.

평양에서 열리는 국제마라톤대회에 외국인 선수 출전을 금지하는 등 스포츠 행사도 축소·연기했다.

당시 국가정보원은 아시아에서 발병 사례가 없었는데도 북한이 예민하게 대응한 것은 의료 인프라가 취약해 에볼라 바이러스가 창궐하면 정권과 국가가 망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실제 북한의 전염병 대응 역량은 매우 취약한 것으로 평가된다.

의료시설과 위생환경이 열악하고 주민이 충분한 영양을 공급받지 못해 결핵, 장티푸스, 독감 등 선진국에서 자취를 많이 감춘 질병으로 매년 상당수가 숨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2018년 북한의 결핵 환자만 13만1천명이며, 2만명이 결핵으로 사망했다.

미국 싱크탱크 '핵위협방지구상(NTI)'과 '존스홉킨스 보건안보센터'는 '2019 세계 보건안보 지수' 보고서에서 북한의 보건안보 순위를 전체 조사대상 195개국 중 193위로 평가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