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선물세트 팔아와라"…계열사 임직원에 강요한 사조산업 과징금

"선물세트 팔아와라"…계열사 임직원에 강요한 사조산업 과징금
7년 가까이 그룹 계열사 직원들에게 명절마다 선물세트를 팔거나 구매하도록 강요해온 사조산업이 약 15억 원의 과징금을 물게 됐습니다.

공정거래위원회에 따르면 사조산업은 지난 2012년부터 2018년 설·추석 명절 전후로, 사조그룹 전체 임직원에게 자사 명절선물세트를 구입·판매하도록 강제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공정위는 사조그룹이 아예 2012년부터 해마다 명절을 앞두고 '사원판매용 선물세트'를 별도로 출시해 직원들을 유통 경로로 활용했다고 밝혔습니다.

심지어 사원판매 실적을 분석·관리하고 다음 해 사업(경영) 계획에도 반영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사조산업은 매년 설과 추석 때마다 계열회사들에 자사와 5개 계열사가 만든 명절선물세트 판매 목표 금액을 할당하고 매일 실적을 보고하도록 지시했습니다.

각 계열사는 내부 사업부와 임직원에 다시 목표금액을 재할당했습니다.

2018년 추석 당시 A계열사 대표이사, B계열사 부장, C계열사 부장, C계열사 과장이 할당받은 목표액은 각 1억2천만원, 5천만원, 3천만원, 2천만원에 이르렀습니다.

일(日)별 구매·판매 실적은 내부통신망에 공지됐고, 실적 부진 계열사에 대한 불이익을 언급한 회장 명의의 공문까지 발송됐습니다.

이런 강요와 압박의 결과, 2012년부터 2018년까지 13차례의 설과 추석 시즌 중 9차례에 걸쳐 사조그룹은 명절선물세트 사원판매 목표액의 100%이상을 팔았습니다.

나머지 4차례 역시 목표 달성률이 90%를 웃돌았습니다.

공정위는 사조산업의 행위가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공정거래법) 제23조 제1항과 제3항으로 금지하는 '사원판매'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사조산업에 시정명령과 함께 14억7천900만 원의 과징금을 부과했다고 밝혔습니다.

사원판매 행위는 자기 또는 계열사 임직원들에게 자기 또는 계열사 상품을 구입·판매하도록 강제하는 것을 말합니다.

아울러 공정위는 사조산업과 비슷한 횡포를 막기 위해 지난 17일 가공식품·생활용품 명절선물세트를 제조하는 8개 사업자를 서울 중구 한국공정거래조정원 대회의실로 불러 사원판매 행위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를 당부했습니다.

공정위는 명절 전후로 홈페이지(www.ftc.go.kr) 등에서 부당한 사원판매 행위에 대한 신고도 받고 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