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여전히 부담스러운 대학 등록금…필요한 대학정책 1위로 꼽혀

여전히 부담스러운 대학 등록금…필요한 대학정책 1위로 꼽혀
국내 대학이 등록금은 많이 받지만, 사회적 인재 양성 역할은 제대로 못 하고 있다는 따가운 시선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교육개발원(KEDI)의 2019 교육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고등교육 분야에서 현 정부가 중점을 두고 추진해야 할 1순위 정책으로 '등록금 부담 경감'을 꼽은 응답자가 33.0%로 가장 많았습니다.

이 여론조사는 교육개발원이 지난해 8∼9월 만 19∼74세 전국 성인 남녀 4천 명을 대상으로 실시했습니다.

최근 한국사립대학총장협의회 등 사립대학 측이 교육부에 등록금 동결 규제를 풀어달라고 요구하고 있으나, 국민들에게는 국내 대학 등록금이 여전히 부담스러운 수준인 것입니다.

지난해 대학 정보공시 기준으로 4년제 대학 평균 등록금은 연간 약 670만 원이었습니다.

지난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교육지표 조사에서는 한국 사립대 등록금이 미국·호주·일본에 이어 네 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두 번째로 필요한 고등교육 정책으로는 대입 전형 단순화 추진(20.9%)이 꼽혔습니다.

문재인 정부 들어 수시모집은 학교생활기록부 중심, 정시모집은 대학수학능력시험 중심으로 단순화됐으나 여전히 수험생과 학부모 입장에서는 대입 전형이 복잡하게 여겨지는 것으로 풀이됐습니다.

대입 전형에서 가장 비중 있게 반영돼야 할 항목으로는 수능(30.8%)이 특기·적성(25.6%), 인성·봉사활동(23.4%), 고교 내신 성적(13.0%)보다 더 많이 꼽혔습니다.

2016∼2017년 조사 때는 특기·적성이 많이 반영돼야 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는데, 2018∼2019년 조사에서는 수능이 다시 1위를 차지했습니다.

정시 확대를 지지하는 목소리가 커진 영향으로 분석됐습니다.

대학 진학 경쟁의 전망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는 경쟁이 다소 완화되더라도 이른바 '명문대' 위주의 입시 경쟁은 지속할 것이라는 관측이 47.5%로 응답자의 절반에 달했습니다.

국내 대학이 사회적으로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고 있느냐는 물음에는 응답자의 55.4%가 '그렇지 못하다'고 답했습니다.

대학이 사회에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려면 진로 탐색 및 취업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역량을 함양시켜줘야 한다(38.0%)는 의견이 가장 많았습니다.

4년제 대학교수들이 해야 할 역할을 잘하고 있느냐는 물음에는 그렇지 않다(41.8%)는 응답이 잘하고 있다(8.1%)는 응답보다 훨씬 많았습니다.

전문대도 마찬가지였으나 잘 못하고 있다(35.1%)는 응답과 잘하고 있다(14.3%)는 응답의 차이가 4년제보다는 적었습니다.

대학에 대한 평가가 부정적이다 보니 정부의 사립대 재정지원 확대 역시 반대한다(52.3%)는 의견이 찬성(28.5%)보다 많았습니다.

대학 평가에 있어서 가장 중요하게 반영돼야 할 지표로는 대학 경영의 건전성과 투명성(25.5%), 교수들의 교육 역량(23.4%), 교육과정 적절성(22%)이 주로 꼽혔습니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역점을 두고 있는 '교육 신뢰 회복' 노력에 대해서는 긍정적 평가(15.6%)보다 부정적 평가(44.4%)가 더 높게 나타났습니다.

응답자들은 입시·학사·채용의 공정성 확보(49.5%), 중대 비리에 대한 신속한 감사·조사(24.0%), 대학 재정 투명성 강화(20.6%) 등이 필요하다고 답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TV,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