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폼페이오, 북미 비핵화 대화에 "여전히 희망적"

폼페이오, 북미 비핵화 대화에 "여전히 희망적"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은 현지시간으로 어제(7일) 북한과의 협상에 여전히 희망적이라고 밝혔습니다.

폼페이오 장관은 어제 워싱턴DC 국무부 청사에서 가진 브리핑에서 '대선이 있는 해이고 이란과 북한이라는 두 가지 핵 관련 위기에 직면했는데 해결에 낙관적이냐'는 질문에 "북한에 대해서 우리는 길을 나설 수 있을 것이라는 데 여전히 희망적"이라고 말했습니다.

폼페이오 장관은 북한의 '성탄선물' 전망과 관련해 의견이 분분했으나 실제로 일어나지는 않았다면서 "우리는 김정은 위원장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2018년에 했던 비핵화 약속에 어떻게 이를 것인지 대화할 수 있을 것이라는 데 대해 여전히 희망적"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 발언은 북한이 '새 전략무기 공개와 충격적 실제행동'을 공언한 가운데 미국의 협상 기조를 다시 확인하며 도발 자제를 촉구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폼페이오 장관은 이란 혁명수비대의 쿠드스군의 가셈 솔레이마니 사령관에 대한 공습이 대이란 최대압박 작전의 일환이냐는 질문에 "(최대 압박에) 외교적, 경제적, 군사적 요소가 있다"며 그렇다는 취지로 답했습니다.

그러면서 "2018년 5월 우리가 이란 핵 합의에서 탈퇴한 이래 우리는 거대한 힘과 에너지로 (최대압박을) 시행했다"며 외교적 공조체제와 경제제재를 통해 이란을 압박해왔음을 설명했습니다.

폼페이오 장관은 이어 "지난 며칠간 이란이 미국인을 살해하는 나쁜 결정에 대한 대통령의 대응도 있었다"면서 "우리는 그들(이란)이 그런 결정을 또 하지 않기를 바란다"고 답변했습니다.

솔레이마니 사령관 사살이 대이란 최대압박의 군사적 측면에서 이뤄진 것이라는 설명을 내놓은 겁니다.

미국은 그동안 북한과 이란을 협상장으로 이끌기 위한 최대압박 작전을 주로 국제공조를 통한 경제제재의 형식으로 써왔습니다.

그러나 폼페이오 장관의 설명으로 보면 최대압박 작전에는 솔레이마니 사령관 사살에서 보듯 미국인의 생명과 본토 방어 위협에 대응하는 군사적 요소가 들어 있다는 것이어서, 이론적으로는 대북 최대압박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의미로도 해석할 수 있습니다.

미국은 이란과 북한에 최대압박 전략을 적용해왔지만 실제적 접근법에서는 차이를 보여왔습니다.

특히 폼페이오 장관이 어제 대북 협상 기조를 재확인한 만큼 군사적 요소를 포함한 최대압박 작전을 북한에 시행하겠다는 방침은 아닌 것으로 관측되지만 간접적 대북 경고 메시지로 받아들여질 가능성도 있어 보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