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안보리, 30일 中·러 주도 '대북제재 완화안' 비공식 논의"

"안보리, 30일 中·러 주도 '대북제재 완화안' 비공식 논의"
중국·러시아가 제안한 대북제재 완화 결의안을 다시 논의하려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회원국들이 현지시간 30일 비공식 회의를 연다고 로이터통신이 보도했습니다.

이번 안보리 회원국 비공개 논의는 북한이 일방적으로 제시한 제재 완화 '시한'을 하루 앞두고 열리는 것이라고 로이터는 분석했습니다.

익명을 요구한 한 외교관은 중국과 러시아가 제재 완화 결의를 추진하며 북한과 조율했다고 비판했습니다.

이 외교관은 "중국과 러시아가 통과 가능성이 없는 걸 애초에 알면서도 제재 무력화를 밀어붙이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중국과 러시아는 이달 초 대북제재 완화를 골자로 한 안보리 결의안 초안을 발의했지만 안보리 전체의 지지를 받지 못했습니다.

제재 완화 결의안 초안은 북한의 주요 수출품인 수산물과 섬유 수출 금지 및 해외에 파견된 북한 근로자 송환에 대한 제재 해제 등의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아울러 남북 간 철도·도로 협력 프로젝트를 제재 대상에서 면제하는 내용도 포함됐습니다 중국과 러시아는 일부 제재 완화가 교착상태에 빠진 미국과 북한의 대화를 촉진할 수 있다는 논리를 펼치고 있습니다.

겅솽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오늘 정례브리핑에서 "중국과 러시아가 낸 결의안 초안은 북한의 인도적 민생 분야의 합리적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일부 대북 제재를 해제하며, 정치적 대화 기제를 지지하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이어 "중국과 러시아는 현재 안보리 회원국과 결의안 내용에 대해 소통하고 있다"면서 "중국은 회원국들이 적극적인 행동으로 정치적 해결을 지지하고 대화 협상을 독려해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수호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중국과 러시아가 제재 완화 결의안을 다시 추진해도 나머지 회원국의 지지를 얻기 어려울 것으로 안보리 외교관들은 전망했습니다.

미국, 프랑스, 영국 등 나머지 안보리 상임이사국은 현시점에서 대북제재 완화를 논의하기는 부적절하다는 입장입니다.

이 결의안 초안이 채택되려면 미국, 영국, 프랑스, 중국, 러시아 등 5개 상임이사국의 거부권 행사 없이 15개 상임·비상임 이사국 가운데 9개국의 찬성이 이뤄져야 합니다.

한편 앞서 미국은 북한에 대한 안보리의 단결성 유지를 강조하는 내용의 언론 성명 초안을 작성했으나 중국과 러시아의 반대로 무산됐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