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대졸 이상 취업률 67.7%로 소폭 증가…남녀 격차 더 벌어져

대졸 이상 취업률 67.7%로 소폭 증가…남녀 격차 더 벌어져
지난해 대학·대학원 졸업자의 취업률이 67.7%로 나타났습니다.

전년도보다 소폭 상승했습니다.

그러나 남성과 달리 여성 취업률은 평균에 미치지 못했습니다.

남녀 취업률 격차는 3년 연속으로 벌어졌습니다.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은 오늘(26일) '2018년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이 조사는 건강보험과 국세 자료 등을 바탕으로 전국 대학 및 일반대학원 졸업자의 졸업 후 상황을 파악했습니다.

올해는 2017년 8월·2018년 2월 졸업자 55만 5천808명을 대상으로 2018년 12월 31일 기준의 취업·진로 상황을 조사했습니다.

조사 대상자 가운데 취업자는 33만 2천839명이었습니다.

대학원 진학자와 해외이민자 등을 제외한 취업대상자(49만 1천392명)의 67.7%였습니다.

지난해 조사(66.2%) 때보다 취업률이 1.5%포인트 증가했습니다.

분야별로는 건강보험 직장가입자(직장인)가 30만1천182명(90.5%), 해외취업자가 2천895명(0.9%), 1인 사업자(창업자)가 6천290명(1.9%), 프리랜서가 1만8천758명(5.6%)이었습니다.

직장인 비율이 전년 대비 0.2%포인트 늘었고, 해외취업자(0.2%p↑)와 1인 사업자(0.5%p↑) 비율도 늘었습니다.

프리랜서 비율은 전년 대비 0.8%포인트 감소했습니다.

성별로 보면 남성 졸업자의 취업률은 69.6%로 평균 이상이었던 반면, 여성 졸업자 취업률은 66.0%로 평균에 미치지 못했습니다.

지난해(남성 67.8%, 여성 64.8%) 대비 남녀 모두 취업률이 증가했으나, 남성 증가 폭(1.8%p)에 비해 여성 증가 폭(1.2%p)이 작았습니다.

남녀 취업률 격차는 2015년 2.9%포인트에서 2016년 2.6%포인트로 줄었으나, 2017년 3.0%포인트, 2018년 3.6%포인트로 3년째 다시 벌어졌습니다.

학제별 취업률을 보면 일반대학 64.2%, 전문대학 71.1%, 교육대학 68.8%, 일반대학원 78.9%였습니다.

교대 취업률은 2016년까지 84.5% 수준이었으나 2017년 72.9%로 추락한 데 이어 2018년에는 60%대로 더 떨어진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교육부 관계자는 "초등 교원 임용 숫자가 줄어든 영향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계열별로 보면 의약계열(83.3%)과 공학계열(71.7%)은 취업률이 평균을 웃돌았습니다.

자연계열(64.2%)·사회계열(64.2%)·예체능계열(64.2%)·교육계열(64.1%) 취업률은 평균에 조금 못 미쳤습니다.

인문계열(57.1%) 취업률이 가장 낮았습니다.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 대학 졸업자의 취업률은 69.0%, 비수도권 대학 취업률은 66.8%였습니다.

수도권·비수도권의 격차는 2015년 0.6%포인트, 2016년 1.6%포인트, 2017년 2.1%포인트, 2018년 2.2%포인트로 4년째 벌어졌습니다.

2018년 졸업자 중 직장에 취업했던 이들(건강보험 직장가입자)이 약 1년(11개월) 뒤 계속 직장인으로 남은 비율(유지취업률)은 79.0%로 전년(78.8%)보다 0.2%포인트 늘어났습니다.

공학계열(83.5%)·의약계열(82.5%)·교육계열(80.1%)은 유지취업률이 전체 평균보다 높았으나, 사회계열(78.2%)·자연계열(76.4%)·인문계열(74.7%)·예체능계열(65.7%)의 유지취업률은 평균보다 낮았습니다.

성별로 보면 남성(82.3%)에 비해 여성(75.6%)의 유지취업률이 저조했습니다.
초임급여 현황 (사진=교육부 제공, 연합뉴스)
직장취업자(건강보험 직장가입자)의 취업 첫해 월평균 소득은 244만 3천원이었습니다.

지난해(249만 6천 원) 대비 5만 3천 원(2.1%) 감소했습니다.

학부 졸업자의 초임 월평균 소득은 227만 8천 원, 일반대학원 졸업자의 월평균 소득은 421만 9천 원이었습니다.

초임 급여 수준을 계열별로 보면 예체능계열(66.0%)·교육계열(56.8%)·인문계열(48.8%)·사회계열(46.9%)·자연계열(43.9%)은 급여 수준 100만∼200만 원 미만 구간에 가장 많이 분포했습니다.

의약계열과 공학계열은 200만∼300만 원 미만 구간에 많았습니다.

기업 유형별 취업자 분포를 보면 중소기업(44.6%) 취업자가 절반에 달했고, 비영리법인(16.1%), 대기업(11.4%), 중견기업(11.0%),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8.5%), 공공기관·공기업(4.7%)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이번 조사부터는 직장 취업자가 취득한 국가기술자격증 현황도 조사됐습니다.

조사 대상자의 50.5%가 자격증을 취득했고, 자격증 취득자는 평균적으로 국가기술자격증을 2개가량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경영·회계·사무 쪽으로는 워드프로세서·컴퓨터활용능력 자격증을 많이 따고, 정보통신 쪽으로는 정보처리기능사·정보처리기사, 기계 쪽으로는 자동차정비기능사·컴퓨터응용선반기능사 자격증을 많이 따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이번 조사의 상세 결과는 내년 1월 중에 교육부(www.moe.go.kr)와 한국교육개발원(kess.kedi.re.kr) 홈페이지에 게재될 예정입니다.

(사진=교육부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