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北 김정은, '거친 언급' 없이 국방력 강조…전원회의 새 노선 주목

北 김정은, '거친 언급' 없이 국방력 강조…전원회의 새 노선 주목
북한이 연말 미국과 '강 대 강' 대치 국면에서 노동당 전원회의를 앞두고 중앙군사위원회 제7기 3차 확대회의를 전격 개최해 주목됩니다.

북한은 김정은 국무위원장 겸 중앙군사위원장이 직접 주재한 이번 회의를 통해 군의 조직 개편, 군에 대한 노동당의 통제와 기강 확립 등 국방 전반을 도약하는 계기로 삼으려는 모습입니다.

조선중앙통신은 김정은 위원장이 "조성된 복잡한 대내외 형편에 대하여 분석 통보했다"고 전했을 뿐 구체적으로 어떤 언급이 있었는지 소개하지 않았습니다.

이는 미국에 일방적으로 제시했던 연말 시한을 눈앞에 두고 동창리 발사장에서 두차례 '중대한 시험'을 했다며 핵 개발 재개와 ICBM 시험발사를 시사했던 최근의 강경한 모습과 비교됩니다.

며칠 안으로 김 위원장이 당 전원회의나 내년 신년사를 통해 현 정세에 대한 평가와 그에 따른 노선을 천명할 예정이어서 구체적인 내용을 공개하지 않은 것으로 보이지만, 미국을 향해 일단은 신중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일각에선 미국이 여전히 협상 의지를 강하게 밝히는 데다 중국과 러시아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대북제재 완화 결의안 초안을 제출하는 등 북한에 힘을 싣는 상황에서 정세의 유동성을 지켜보면서 '호전적 언행'의 수위를 조절하는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옵니다.

이번 북한 중앙군사위 확대회의에서는, 자위적 국방력 차원의 다양한 군사정치적 대응책을 마련했다는 내용이 눈길을 끕니다.

비록 정세의 유동성과 대화의 여지를 고려해 미국을 향한 거친 발언을 자제했을지언정, 미국에 양보하지 않을 것이며 체제 수호를 위한 국방력 강화에 주력할 의지를 피력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번 회의에서 특히 눈길을 끄는 것은 "나라의 전반적 무장력에 대한 당의 영도를 더욱 철저히 실현하고 담보하기 위한 조직 기구적인 대책들이 토의 결정됐다"는 부분입니다.

이는 김정은 위원장이 직접 군에 대한 강력한 통제와 군의 기강 확립에 나섰음을 시사합니다.

김 위원장은 집권 이후 김정일 체제의 '선군정치' 하에서 막강해진 군부의 힘을 빼는 데 총력을 기울여서 노동당의 통제 속에 가두는 데 성공했다는 평을 듣고 있습니다.

(사진=평양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