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독감 의심 환자 3주 새 2배 급증…"예방접종 이제라도 서둘러야"

독감 의심 환자 3주 새 2배 급증…"예방접종 이제라도 서둘러야"
질병관리본부는 최근 인플루엔자(독감) 의심환자가 증가하고 있어 예방접종을 서두르는 등 감염 예방에 주의를 기울여달라고 당부했습니다.

13일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병원을 통해 집계되는 독감 의사환자(의심환자)는 지난달 15일 독감 유행주의보가 발령된 이후 지속해 증가했습니다.

외래환자 1천 명당 의사환자는 11월 17∼23일 9.7명, 24∼30일 12.7명, 12월 1∼7일 19.5명으로 3주 사이에 2배 가까이 증가했습니다.

연령별로는 7∼12세 의사환자분율이 가장 높아 집단생활을 하는 학생들에서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7∼12세 외래환자 1천명당 의사환자는 11월 17∼23일 24.1명, 24∼30일 35.2명, 12월 1∼7일 59.5명으로 2배 이상 증가했습니다.

질병관리본부는 독감 예방과 확산을 방지하려면 미접종자는 이른 시일 내에 예방접종을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특히 독감에 걸리면 합병증 발생 위험이 큰 임신부와 다른 연령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접종률이 낮은 10∼12세 어린이는 이달 안에 예방접종을 완료해야 한다고 당부했습니다.

임신부와 소아, 노인 등 고위험군의 예방접종률을 보면 10일 기준으로 생후 6개월∼12세 어린이 75%, 임신부 31.3%, 만 65세 이상 어르신 83%가 접종을 마쳤습니다.

어린이 중에서는 6세 이하 82.7%, 7∼9세 73.6%, 10∼12세 62.5%가 접종을 완료했습니다.

질병관리본부는 38도 이상 발열과 기침, 인후통 같은 독감 의심 증상이 있다면 가까운 의료기관을 찾아 조기에 진료를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특히 유행주의보가 발령되면 65세 이상 어르신, 임신부, 소아 등 고위험군은 인플루엔자 검사 없이 치료제인 항바이러스제 처방에 건강보험 적용을 받을 수 있습니다.

질병관리본부는 타미플루 등 오셀타미비르 성분 계열 항바이러스제 부작용 논란과 관련해 세계적으로 인과관계가 인정되지 않았다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의료인은 진료 시 경과 관찰 필요성에 대해 충분히 설명하고, 환자 보호자는 발병 초기에 환자를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한다고 당부했습니다.

영유아나 학생이 독감에 걸렸을 때는 집단 내 전파를 예방하기 위해 해열제 없이 체온이 정상으로 회복한 후 24시간까지 어린이집, 유치원, 학교, 학원 등에 등원·등교를 하지 말아야 합니다.

노인요양시설 등 고위험군이 집단 생활하는 시설에서는 직원과 입소자에게 예방접종을 하고, 입소자의 독감 증상 모니터링을 강화해야 합니다.

또 호흡기 증상이 있는 방문객 방문을 제한하고 증상자는 분리해 생활하도록 해야 합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