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쁜 삶이었다. 옛 공산권과 아프리카 오지 등 각국에 현지 법인 396개를 세우고 지구를 240바퀴쯤 돌았다. 밥 먹는 시간이 아까워 점심으론 비빔밥과 설렁탕만 먹었다고 했다. 김태구 전 대우자동차 회장은 김 전 회장이 늘 "오밤중까지 일했다"며 유럽 출장 뒤 홍콩에 들러 함께 방을 쓰게 됐는데 "새벽 4시에 깨보니 책을 읽고 있더라"고 말했다. 4시간 뒤에 있을 조찬 자리에 늦을까 봐 아예 안 잤다는 것이다.
김 전 회장 빈소에서 만난 백지우 씨(29세)는 김우중이 마지막으로 뿌린 도전의 씨앗이 싹 틔운 경우다. 지방 국립대 졸업반 시절 학교 게시판에서 본 'GYBM' 프로그램이 인생을 바꿨다. GYBM은 옛 대우맨들이 만든 대우세계경영연구회가 주관해 청년의 해외 진출을 돕는 프로그램이다. 청년을 선발해 어학과 비즈니스를 교육한 뒤 옛 대우 네트워크를 활용, 베트남과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 취업을 지원한다. 김우중 생애 마지막까지 애착을 가졌던 기획이다. 한 사람당 2천만 원 드는 교육비의 절반은 세계 각지에 퍼져 있는 대우 임직원 출신들 회비로 충당한다. 지금까지 700여 명이 혜택을 봤다.
백 씨는 2016년 인도네시아 신발 공장에 취업해 2년 만에 매니저로 승진했다. 한 달 1백만 족을 생산해 나이키 등 글로벌 기업에도 납품하는 공장에서 5천 명 작업을 관리한다. 생산에서 선적, 신규모델 개발 등 직무에 필요한 교육은 이미 GYBM 프로그램을 통해 옛 대우 노하우를 배울 수 있었다. 아직 취업난에 시달리는 친구들은 백 씨의 선택을 부러운 눈길로 보고 있다고 한다. 백 씨는 "도전을 강조한 김우중 회장님이 세계에서 각자 역할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잘 활용하라고 하신 게 기억에 남는다"며 "세계 경영이란 가치, 딱 그것 하나만 마음에 품고 있다"고 말했다. 대우세계경영연구회 최윤권 홍보위원은 "김 회장님은 평소 그룹은 해체됐지만 젊은 친구들을 통해 대우의 명맥을 잇고 싶어 했다"고 말했다.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