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지난해 3040 일자리 13만 개 줄었다…60세 이상은 25만 개 ↑

지난해 3040 일자리 13만 개 줄었다…60세 이상은 25만 개 ↑
지난해 30대와 40대 일자리가 13만 개 감소한 가운데 60세 이상 노인 일자리만 25만 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여성 일자리가 빠르게 늘어나고는 있지만 여전히 남성의 일자리 점유율이 58.3%로 더 높았고, 특히 대기업 등 영리기업에서 남성 비중이 두드러졌습니다.

5일 통계청 '2018년 일자리행정통계 결과'를 보면 지난해 30대 일자리는 총 517만 개로 전년보다 8 만개 감소했습니다.

40대 일자리는 5만 개 줄어든 606만 개였습니다.

19세 이하에서도 신규채용을 중심으로 일자리가 총 3만 개 감소하면서 19만 개에 그쳤습니다.

일자리가 가장 많이 늘어난 연령대는 60세 이상이었습니다.

60세 이상 일자리는 2016년 273만 개에서 2017년 298만 개, 지난해 323만 개로 매년 25만 개 이상 불고 있습니다.

50대의 경우 14만 개 늘어난 545만 개였고, 20대는 2만 개 늘어난 332만 개였습니다.

전체 일자리가 전년보다 26만 개 증가했지만 대부분 50대 이상 장·노년층 일자리 증가에 기댄 것입니다.

근로자의 평균 연령은 45.3세로, 전년보다 0.4세 높아졌습니다.

지난해 남성이 점유한 일자리가 1천365만개로 전체의 58.3%를 차지했습니다.

여성 일자리는 전년보다 24만 개 늘어나긴 했으나 977만 개에 그쳤습니다.

신규채용 일자리 가운데서는 남성의 비중이 53.8%(324만 개)였고, 여성은 46.2%(279만 개)였습니다.

20대 이하에서는 남녀가 점유한 일자리 규모가 비등하지만 30대에서는 격차가 크게 벌어지는 모습입니다.

20대 남자 일자리는 168만 개(50.7%), 여자의 경우 164만 개(49.3%)지만 30대 들어서는 남성 일자리가 314만 개(60.7%), 여성이 203만 개(39.3%)에 그칩니다.

40대와 50대에는 여성 일자리 비중이 각각 41.4%, 41.6%로 30대보다는 남녀 일자리 수 격차가 좁은 모습입니다.

조직 형태 및 규모로 나눠보면 회사법인과 개인기업체에서는 남성 일자리 비중이 더 컸고 비영리·학교 법인 등 회사 이외 법인 또는 정부·비법인단체에서는 여성 일자리가 더 많았습니다.

대기업에서 남성 일자리 수는 236만 개로 전체의 64.2%를 차지했습니다.

여성 일자리는 절반 수준인 132만 개에 불과했습니다.

중소기업에서도 남성 일자리는 922만 개(61.6%)로 여성(576만 개)보다 많았습니다.

근속기간별로는 1년 이상 2년 미만의 일자리가 603만 개(25.3%)로 가장 많았습니다.

1년 미만도 484만 개(20.7%)에 달했습니다.

2년 이상 3년 미만은 358만 개(15.3%), 5년 이상 10년 미만은 290만 개(12.4%)였습니다.

5년 이상 근속 일자리를 모두 합하더라도 624만 개(26.6%)에 그칩니다.

이를 바탕으로 따진 평균 근속기간은 4.8년입니다.

전년보다는 0.2년 증가했습니다.

정부·비법인단체의 근속기간이 평균 9.6년으로 가장 길었고 회사 이외 법인의 근속기간은 6.0년, 회사법인은 4.9년, 개인 기업체는 2.6년이었습니다.

기업 규모별로는 대기업 일자리의 평균 근속기간이 7.5년, 평균연령은 40.3세였습니다.

중소기업은 3.1년, 비영리기업은 7.9년으로 나타났습니다.

대기업에서는 30대 비중이 31.2%(115만 개)로 가장 많았고 중소기업에서는 40대가 25.5%(382만 개)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임금 근로 일자리는 1천920만 개였으며 이 가운데 신규채용을 제외한 '지속 일자리'는 1천407만 개(73.3%)였습니다.

개인사업체 사업주나 혼자 일하는 기술자 등을 아우르는 비임금근로자 일자리는 422만 개로 집계됐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