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쓰러진 黃에 한국당 강경투쟁 모드…"우리가 황교안"

황교안, 단식 8일째 긴급이송 (사진=자유한국당 제공/연합뉴스)
황교안, 단식 8일째 긴급이송 (사진=자유한국당 제공/연합뉴스)
자유한국당 황교안 대표가 단식 끝에 입원하자 한국당은 28일 여권을 향해 강도 높은 비판을 쏟아내며 강력한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 법안 저지 투쟁을 예고했습니다.

황 대표의 바통을 이어받아 정미경·신보라 최고위원이 릴레이 단식에 나서는 등 한국당 내 강경 기류가 확산하는 양상입니다.

나경원 원내대표는 이날 패스트트랙 법안을 원천 저지하겠다는 입장을 거듭 밝힌 점도 이와 무관치 않습니다.

나 원내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와 연동형 비례대표제는 명분도 동력도 모두 사라진 낡은 탐욕"이라며 "황교안 대표의 단식은 끝나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불법 패스트트랙 폭거를 멈추고 공존과 대화의 정치를 복원하라. 칼을 내려놓고 대화의 장으로 나오라"고 말했습니다.
나경원 자유한국당 원내대표 국회 긴급의원총회 발언 (사진=연합뉴스)
이는 '선거법 개정안과 공수처 설치법안의 패스트트랙 철회'가 협상의 전제 조건임을 다시 한번 강조한 것입니다.

나 원내대표는 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서도 "패스트트랙의 모든 단계가 불법이라 그런 부분을 걷어내야 진정한 협상이 된다"며 "여당이 청와대 뜻을 받들어 추진하는 것이라 대통령이 풀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동조 단식에 들어간 정미경 최고위원은 "지도부의 단식을 '우리가 황교안이다'라는 뜻으로 받아들여 달라"고 말했습니다.
동조 단식 들어간 정미경·신보라 의원 (사진=연합뉴스)
정 최고위원은 "표결해봤자 한국당이 수적으로 막을 수가 없다. 이미 결론 나 있는 것을 갖고 협상하자는 식으로 한국당에 이야기하는 것"이라고 주장한 데 이어 의원직 총사퇴와 장외 투쟁 등 여론전만이 패스트트랙 법안을 저지할 수 있는 유일한 답이라고 밝혔습니다.

다만 당내 '협상론'이 완전히 수그러들지는 않는 상황입니다.

강석호 의원은 "권력구조 개편을 위한 원포인트 개헌을 고리로 선거법도 협상을 통해 해결이 잘되지 않겠느냐"고 했습니다.

그는 앞서 '공수처법 수용, 선거법 저지'를 위해 여당과 협상해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