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2032년 서울·평양 올림픽 가능할까…정부 실무추진단 첫발

2032년 서울·평양 올림픽 가능할까…정부 실무추진단 첫발
▲ 개회사하는 김연철 통일부 장관

지난해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9·19 평양공동선언을 통해 2032년 하계올림픽 공동유치를 선언한 데 이어 주무 부처들이 구체적인 논의에 나섰습니다.

김연철 통일부 장관과 박양우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박원순 서울시장은 26일 소공동 웨스틴조선 호텔에서 '2032 하계올림픽 서울-평양 공동유치 공감포럼'을 열었습니다.

김연철 장관이 먼저 운을 뗐습니다.

그는 "과거 올림픽 개최지가 길게는 11년 전에 결정된 사례도 있다. 2032년 올림픽이 2021년 결정될 수도 있는 것"이라며 "2032년 서울-평양 올림픽이 결정되면 도시 교류의 첫 모델이 되는 등 남북관계의 폭과 깊이 모두 이전과는 확연히 달라질 수 있다"고 기대감을 내비쳤습니다.

그러면서 "남북이 지금부터 함께 머리를 맞대고 힘을 모아 준비해 나가야 할 게 많다. 북한이 적극 호응해 나오길 희망한다"고 당부했습니다.

문체부 측은 이런 구상에 화답하면서 조만간 실무 준비에 들어갈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박양우 장관은 "서울시 등 관계부처와 실무추진단을 구성할 예정"이라며 "자세히 밝힐 수는 없지만, 국제올림픽위원회(IOC)와 많은 교류가 있다"고 귀띔했습니다.

단일팀 구성 문제와 관련해선 "지금 젊은이들에게는 '공정'과 '형평'이 중요한 문제"라며 "종목별로 선수들 동의를 받고 추진해야 한다는 원칙을 뒀다. 할 수만 있다면 예선전에 함께 참가해야 하며, (예선전을 하지 않고) 나중에 끼워 넣는 건 원칙에 어긋난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문체부는 2032 올림픽 유치를 위한 적극적 노력의 일환으로 예정에 없던 2024년 동계청소년올림픽대회 남북 공동유치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재정 문제에 대해서는 "아무래도 부담이 있다"고 인정하면서도 "그동안 국제적 스포츠 대회를 진행해온 노하우와 인프라가 있는 만큼 유치 결정전에서 유리하다"고 했습니다.

그러자 박원순 서울시장은 "만약 서울-평양 올림픽이 확정돼 추진된다면 이미 북한이 상당히 개방됐고, 국제자본도 굉장히 관심이 많을 것"이라며 "어마어마한 변화가 한반도에서 일어날 것"이라고 거들었습니다.

2032년 올림픽 개최지 선정 시기에 대해 안민석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은 "제가 내부적으로 알아본 바에 따르면 (개최 결정은) 2022년이 유력하다"며 "한반도 평화 무드가 조성된다는 전제하에 내년에는 준비위원회를 구성하고 그에 맞춰 국회는 지지 결의안을 통과시켜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북한과 꾸준한 공조를 비롯해 우리 내부의 사회·문화적 준비가 필요하다는 제언도 있었습니다.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인 정세현 전 통일부 장관은 "솔직히 말해서 북측 체육시설이 별것이 없다. 공동개최만 하지 말고 시설 개·보수 및 신축까지 밀어줄 수 있다는 메시지를 계속 보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정 전 장관은 "철도 연결 문제도 있다. 올림픽을 개최하려면 외국 선수들이 서울과 평양을 쉽게 다닐 수 있어야 한다"며 "민주평통에서 관련 아이디어가 구체화하면 청와대에 제출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공동올림픽 성사 시 국기 게양식 때 인공기가 올라가면 우리 국민이 참을 수 있겠느냐. 논란이 될 수 있는 문제에도 대비해야 한다"고 주문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