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리더십 위기' 몰린 황교안, 靑 겨냥 단식투쟁으로 승부수

'리더십 위기' 몰린 황교안, 靑 겨냥 단식투쟁으로 승부수
자유한국당 황교안 대표의 단식투쟁은 새누리당에서 한국당으로 간판을 바꿔 단 뒤 당 대표로서는 처음입니다.

황교안 대표는 20일 오후 무기한 단식에 들어갔는데, 이번 단식은 청와대를 정면으로 겨냥한 것입니다.

청와대 앞 분수대 광장에서 농성을 시작했다가 법률상 문제가 제기돼 장소를 국회로 옮겼습니다.

황 대표가 단식하는 이유는 여권의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 강행 기류와 경제·외교·안보 등 총체적 국정 실패에 항의하겠다는 것입니다.

황 대표는 이날 단식 돌입에 앞서 '대국민 호소문'에서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지소미아·GSOMIA) 파기 철회와 패스트트랙에 오른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설치법 및 연동형 비례대표제 선거법 철회 등 3가지를 요구했습니다.

그는 "죽기를 각오하겠다"며 이들 요구가 관철될 때까지 단식을 멈추지 않기로 했습니다.

황 대표는 이 같은 '국가적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머리를 맞대자면서 지난 18일 문 대통령과의 '영수회담'을 제안했지만, 청와대는 시간이 없다며 거부했습니다.

결국 황 대표는 문 대통령에게 국정 기조를 전환할 뜻이 없다고 판단, "현 상황을 비상시국으로 선언하고 비상행동에 들어갈 수밖에 없다"고 예고한 대로 단식 돌입을 결심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자유한국당 황교안 대표 단식 (사진=연합뉴스)
황 대표는 취임 이후 대여 강경투쟁 일변도였습니다.

지난 9월 16일 '조국 법무부 장관 파면'을 촉구하며 삭발한 게 대표적인데, 당시 삭발도 청와대 앞에서였습니다.

삭발 두달여 만에 그는 단식으로 투쟁 강도를 한층 끌어올린 셈입니다.

단식투쟁은 겨울철 '풍찬노숙'에 가까운 형태가 될 것이라고 박맹우 사무총장이 기자들과 만나 전망했습니다.

그는 기자들과 만나 "절대 정치공학적으로 해석하지 말아달라"며 "누군가는 나서서 이 시기에 온몸을 던져 투쟁해야 하지 않겠나"라는 책임감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박 사무총장이 경계한 '정치공학적 해석'은 최근 황 대표의 당내 입지와 무관치 않습니다.

황 대표는 '조국 사태' 이후 제대로 된 투쟁전략을 구사하지 못한 채 여권에 끌려다니면서 오히려 실책만 연발했다는 비판을 받아왔습니다.

대여 투쟁 동력은 끌어올렸지만, 박찬주 전 육군대장 영입 논란에서 보듯 자체 혁신·쇄신이 필요하다는 당 밑바닥 요구에는 뚜렷한 답을 내놓지 않았습니다.

보수통합에 불을 붙이는 것으로 답변을 대신했습니다.

하지만 당 일각에서는 '혁신 없이는 총선 필패'라는 위기감이 확산하고 있습니다.

특히 김세연 의원이 총선 불출마를 선언하면서 지도부의 '선도 불출마'를 요구하고, 이를 계기로 지도부 용퇴론까지 거세져 황 대표의 리더십은 또다시 위기에 봉착한 상황입니다.

다소 뜬금없다는 평가를 받았던 영수회담 제안은 물론, 이날 단식투쟁 돌입도 결국 자신의 정치적 위기를 돌파하려고 꺼내든 게 아니냐는 해석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황 대표가 이달 초 '보수통합론'을 들고나오면서 바른미래당 유승민 의원과의 물밑접촉을 공개한 배경에도 이 같은 계산이 깔렸다는 지적이 제기된 바 있습니다.

이번 단식투쟁이 '어설픈' 정치공학적 행보가 아니라 목숨을 건 투쟁으로 진정성 있게 받아들여지려면 여론의 공감과 투쟁의 성과가 필수적입니다.

황 대표에 앞서 지난해 9일간의 단식투쟁을 벌였던 김성태 전 원내대표는 '드루킹 특검'을 관철했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그러나 지소미아 종료의 경우 문 대통령의 의지가 확고하고, 패스트트랙 역시 범여권이 칼자루를 쥐고 있다는 점에서 성과를 장담하기 어렵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홍준표 전 대표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문 대통령은 황 대표 단식에 미동도 안 할 것"이라며 "그만큼 야당 전체를 얕잡아보고 있는데 단식을 한다고 해결될 문제냐"고 되물었습니다.

황 대표는 단식에 들어가면서 "당을 쇄신하라는 국민의 지엄한 명령을 받들기 위해 제게 부여된 칼을 들겠다"며 "국민의 눈높이 이상으로 처절하게 혁신하겠다"고 고강도 인적쇄신을 다짐했습니다.

이번 단식투쟁이 국면 전환용 카드가 아니라는 점을 강조하고, 당 안팎에서 커지는 쇄신 요구에 귀를 닫고 있지 않다는 점도 역설하려는 의도로 읽힙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