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시아파 벨트 '반정부시위 몸살' 뒤에는 미국 대이란제재"

"시아파 벨트 '반정부시위 몸살' 뒤에는 미국 대이란제재"
최근 민생고나 휘발유 가격 인상으로 시위가 촉발된 이슬람 시아파 국가들의 배후에는 미국의 대이란 경제제재에 따른 고통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영국 더타임스 보도에 따르면 시아파 종주국인 이란과 이웃 이라크, 레바논 등 이른바 중동 '시아파 벨트'(초승달 벨트) 3개국에선 저조한 경제실적에 고물가, 실업난이 겹쳐 최근 시위가 발생했습니다.

신문은 "이들 3개국에서 경제 위기의식은 미국의 이란 적대정책 때문에 더 심화됐다"면서 "이란이 미국의 제재 때문에 더 이상 동맹국(이란, 레바논)들을 보조할 수 없게 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특히 이란의 경제 생산력은, 트럼프 대통령이 이란 핵 합의에서 일방적으로 탈퇴하고 이란 제재를 복원시키면서 뚝 떨어졌습니다.

이라크는 수니파 극단주의 무장세력 '이슬람국가'(IS)와 전쟁 후 나라를 재건하는 과정에서 유가 하락으로 타격을 받았습니다.

레바논은 수년 동안 수입보다 지출이 많은 생활을 하면서 나랏빚에 허덕이게 됐습니다.

이들 시아파 3개국은 부패와 불평등으로 고통당하지만, 이란의 후원을 받는 시아파 민병대가 이런 정치체제를 지속시키고 있습니다.

이란의 경우는 혁명수비대의 바시지 민병부대, 레바논은 헤즈볼라, 이라크는 민중동원군이 각각 시아파 민병대입니다.

초승달 모양인 시아파 벨트의 끝자락에 있는 레바논은 이란의 후원이 줄어들면서 헤즈볼라가 재향군인과 레바논 남부에 있는 시아파 노동계급에 대한 복지 지원을 삭감해야 했습니다.

미국이 헤즈볼라와 비즈니스를 하는 레바논 은행들을 제재하면서 레바논 은행권 신뢰도가 떨어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헤즈볼라를 겨냥한 제재였지만 결과적으로 레바논의 모든 이가 무차별 피해를 본 것입니다.

이라크는 이란 정보관리들이 정부 내각의 상당 부분을 선임하고 군부에도 침투했으며 심지어 미 중앙정보국(CIA)에서 운영하던 정보망까지 파고 들어갈 정도라고 뉴욕타임스가 누설된 이란 외교전문을 인용 보도했습니다.

이란의 이라크내 영향력은 너무나 만연해서 사실상 이란 관리들이 국가 주요 조직을 자유롭게 통제하고 이라크의 의사결정 과정의 많은 부분에 대해서도 핵심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현재 이라크의 소요 사태는 부분적으로 이란의 배후조종에 대한 반감도 작용하고 있다고 뉴욕타임스는 분석했습니다.

그러나 이란은 미국 등 서방의 적들이 시아파 3개국에 대한 소요를 조장하거나 최소한 그로 인한 이득을 보려고 하고 있다고 두려워하고 있습니다.

이란이 자국은 물론이고 이라크에 시위에 대한 강경 진압을 주문하고 있는 것도 부분적으로는 이란이 미국의 제재에 굴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려는 의도가 담겨 있다고 뉴욕타임스는 분석했습니다.

이라크에선 지난달 이란 혁명수비대의 국제조직을 맡고 있는 콰셈 술레이마니 사령관이 수도 바그다드를 다녀간 이후 300명 이상의 시위대가 군경의 진압과정에서 사망했습니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