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홍콩 이달 체포자 500명 '훌쩍'…11살 어린이까지 잡아가

홍콩 이달 체포자 500명 '훌쩍'…11살 어린이까지 잡아가
시진핑 국가주석을 비롯한 중국 지도부가 홍콩 시위사태에 대해 강경 대응 방침을 밝힌 가운데 홍콩 시위 과정에서 체포된 사람이 눈덩이처럼 불어 이달 들어 체포된 시위자가 무려 500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2일 홍콩 명보, 빈과일보,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등에 따르면 홍콩 경찰은 지난주 시위 과정에서 불법 집회 참여, 공격용 무기 소지, 복면금지법 위반 등으로 체포된 사람이 266명에 달한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체포된 사람 중에는 11살 어린이까지 있어 충격을 던져주고 있습니다.

이는 지난 6월 초 '범죄인 인도 법안'(송환법) 반대 시위가 시작된 후 가장 어린 나이에 체포된 사례입니다.

최고령 체포자는 74세였습니다.

더구나 시위 현장에서 경찰이 쏜 실탄에 맞아 21세 학생이 중태에 빠지는 사건이 발생한 전날에는 하루에 체포된 사람이 무려 260명을 넘었습니다.

지난주 체포된 사람 266명과 전날 체포된 사람 260명을 합치면 526명에 달해 이달 들어 체포된 홍콩 시민은 500명을 훌쩍 넘어선 셈입니다.
홍콩 시위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지난 6월 초 송환법 반대 시위가 시작된 후 지난달까지 경찰에 체포된 시위자의 수가 3천여 명이므로, 이달 들어 체포된 사람까지 합치면 이제 총 체포자의 수는 3천600명에 육박합니다.

홍콩 경찰의 검거작전 강도가 갈수록 높아지면서 이제 쇼핑몰, 대학, 성당 등 장소를 가리지 않고 무조건 진입해 시위대를 체포하고 있습니다.

전날 홍콩 경찰은 홍콩과기대학, 이공대학, 중문대학 등 대학 내까지 진입해 최루탄, 고무탄 등을 마구 쏘면서 시위대 체포에 나섰습니다.

6월 초 송환법 반대 시위가 시작된 후 경찰이 대학 내까지 진입해 이러한 강도 높은 검거 작전을 펼친 것은 처음 있는 일입니다.

중문대학 등은 경찰에 "자제력을 발휘해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지만, 경찰은 "대학은 범죄자의 도피처가 아니다"고 맞섰습니다.

심지어 경찰은 사이완호 지역에 있는 성십자가 성당 내에까지 진입해 5명의 시위자를 체포했습니다.

인근 주민들이 몰려들어 경찰의 행태를 비난했지만, 경찰은 이에 아랑곳하지 않고 검거 작전을 단행했습니다.

천주교 홍콩교구는 성명을 내고 "성스러운 성당 내에 경찰이 진입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로, 이번 일에 깊은 유감을 표한다"고 밝혔습니다.

전날 경찰의 강경 진압으로 인해 곳곳에서 부상자가 속출해 하루 부상자가 무려 99명에 달했습니다.

부상자 중에는 83세 노인과 4개월 영아마저 있었습니다.

실탄 피격자를 비롯해 이 가운데 2명은 아직 위중한 상태입니다.
홍콩 시위대 저지하는 경찰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홍콩 경찰의 이러한 강경 진압은 지난달 말 19기 공산당 중앙위원회 4차 전체회의(4중전회)에서 결정된 '강경 대응' 정책을 반영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옵니다.

시진핑 주석이 주재한 4중전회에서는 "홍콩과 마카오 특별행정구의 국가 안보를 수호하는 법률 제도를 완비하겠다"고 결정했으며, 이후 중국 정부는 홍콩에 '전면적 통제권'을 행사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캐리 람 홍콩 행정장관이 최근 시진핑 주석과 한정 부총리 등 중국 최고 지도부를 만나 '재신임'을 받은 후 시위 진압은 더욱 강경해지는 모습입니다.

지난 4일 시 주석은 상하이에서 람 장관을 만나 "법에 따라 폭력 행위를 진압하고, 처벌하는 것은 홍콩의 광범위한 민중의 복지를 수호하는 것이니 절대 흔들림 없이 견지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이후 홍콩과기대 2학년생 차우츠록 씨가 시위 현장 주차장에서 추락해 결국 지난 8일 숨졌으며, 전날에는 경찰이 시위 참가자에게 경고도 없이 실탄을 쏴 중태에 빠뜨리는 사건마저 발생했습니다.

캐리 람 행정장관은 전날 저녁 연 긴급 기자회견에서 시위대 피격에 대해 사과하기는커녕 시위대를 "폭도"라고 부르면서 맹비난했습니다.

그는 "사회질서를 파괴하는 폭도들의 폭력행위에 굴복하지 않을 것"이라며 "3만 홍콩 경찰은 치안 유지의 중추"라고 밝혀 앞으로도 시위에 대한 강경 진압 방침을 고수할 것임을 시사했습니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