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北 유엔대사, 美에 "공동성명 이행이 열쇠"…IAEA "北 핵활동 우려"

北 유엔대사, 美에 "공동성명 이행이 열쇠"…IAEA "北 핵활동 우려"
김성 유엔주재 북한 대사가 북미협상의 교착 원인을 미국에 돌리며 싱가포르 공동성명의 이행을 미국 측에 촉구했습니다.

우리 정부를 향해서는 이중적 태도를 취하고 있다고 비난했습니다.

김 대사는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국제원자력기구(IAEA) 관련 유엔총회 연설에서 북미 관계가 지난해 6월 싱가포르에서의 북미정상회담 이후 "거의 진전이 없었다"면서 "한반도 정세는 긴장 악화의 악순환에서 벗어나지 못했다"고 밝혔습니다.

김 대사는 "이는 전적으로 미국이 저지른 정치적, 군사적 도발에 기인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김 대사는 싱가포르에서의 북미 공동성명을 이행하는 것이 평화와 안정을 공고히 하는 "열쇠(key)"라고 강조했습니다.

북한의 비핵화 관련 언급은 피한 가운데 싱가포르 공동성명 제1항, 2항에 각각 적시된 새로운 북미관계 수립과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비롯해 대북 제재 완화 등에서 미국의 조치를 거듭 촉구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김 대사는 북한은 지난해 이후 "한반도의 항구적인 평화체제 구축을 위해 선의로 적극적인 노력을 해왔다"면서 핵실험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시험 발사도 자제해왔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남북관계에 대해서도 현재 "주요 단계의 (합의) 이행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정체 상태"라면서 이는 평화 이니셔티브를 제안한 것처럼 보이지만 군사 준비태세를 강화하고 있는 "남한 당국의 이중적 행동에서 기인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코르넬 페루타 IAEA 사무총장 대행은 "북한의 핵 활동은 여전히 심각한 우려의 원인"이라면서 북한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확실히 위반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페루타 대행은 유엔 의무를 준수하고 IAEA와 즉각 협력할 것을 북측에 촉구했습니다.

페루타 대행은 또 IAEA의 사찰 요원들이 북한에서 추방된 지 10년이 넘었다고 지적하고, IAEA는 인공위성 촬영 이미지 등을 통해 북한 핵 프로그램에 대한 모니터를 지속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