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정경심 추가기소'로 76일 만에 수사 일단락…남은 쟁점은

'정경심 추가기소'로 76일 만에 수사 일단락…남은 쟁점은
검찰이 어제(11일)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의 부인 정경심 동양대 교수에 대해 일부 혐의를 추가해 재판에 넘기면서 이제 조 전 장관을 겨냥한 수사가 본격화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2부(고형곤 부장검사)는 어제 오후 정 교수에 대해 자본시장법 위반 등 14개 혐의를 추가해 구속기소 했습니다.

정 교수는 이미 지난 9월6일 딸의 동양대 표창장 위조 혐의로 불구속 기소했습니다.

검찰은 어제 지난 9월 기소 당시 '성명불상자'로 남겨두었던 표창장 위조의 공범을 조 전 장관의 딸로 결론 내렸습니다.

검찰은 지난 8월27일 조 전 장관 일가의 자녀 입시비리, 사모펀드 투자, 웅동학원 소송 의혹과 관련해 첫 압수수색을 하며 강제수사를 시작했습니다.

이후 76일 만에 정 교수를 구속 기소했지만, 입시비리 관련 '공범'인 딸, 사모펀드 의혹 '공범'인 정 교수의 동생, 조 전 장관의 5촌 조카 조 모씨 등의 처분은 추가 수사를 거쳐야 할 걸로 보입니다.

이 과정에서 정 교수에 대한 혐의가 추가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향후 검찰 수사는 정 교수와 조 전 장관의 연결 고리를 찾는데 집중될 것으로 보입니다.

검찰은 정 교수의 구속영장 청구서와 공소장에 조 전 장관을 공범으로 적시하지는 않았습니다.

정 교수가 '인턴 품앗이' 등 입시비리를 저지르는 과정에서 조 전 장관의 지위와 인맥을 이용했고, 남편의 공직생활 때문에 주식투자를 차명으로 하고 사모펀드 투자와 관련해 증거인멸과 허위 해명을 지시했다는 정도의 내용만 적혔습니다.

조 전 장관은 ▲ 서울대 법대 공익인권법센터 인턴증명서 허위 발급 ▲ 더블유에프엠(WFM) 주식 차명투자 ▲ 사모펀드 투자운용보고서 허위 작성 ▲ 서울 방배동 자택 PC 하드디스크 교체 등 정 교수 혐의에 연루돼 있는 게 아니냐는 의혹을 받고 있습니다.

핵심은 사모펀드 의혹입니다.

검찰은 정 교수가 주가 상승 정보를 미리 알고 코스닥 상장사인 2차전지 업체 WFM 주식을 사들였다고 파악하고 있습니다.

조 전 장관은 당시 청와대 민정수석으로 재직하고 있었습니다.

법조계에선 WFM 측이 청와대 민정수석의 영향력을 기대하고 부인인 정 교수에게 주식을 싸게 팔았다면 뇌물죄가 적용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기도 있습니다.

검찰은 정 교수가 WFM의 2차전지 공장 설립, 중국업체와의 공급계약 체결 등 공시 전인 2018년 1월쯤 주식 12만주(약 6억원)를 시세보다 2천원 싼 주당 5천원에 차명으로 매입했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조 전 장관은 인사청문회 등에서 '펀드 운용사에 대해 전혀 알지 못했다', '블라인드 펀드라 어디에 투자했는지 알 수 없었다'고 해명했습니다.

검찰은 조 전 장관의 딸이 부산대 의학전문대학원에서 받은 장학금이 조 전 장관에게 제공한 뇌물에 해당하는지도 계속 수사하고 있습니다.

검찰은 어제 부산대 의전원이 있는 양산부산대병원의 노환중 당시 원장이 개인 장학금을 지급했고 올해 6월 부산의료원장에 임명되는 과정에 잡음이 있었던 정황을 주시하고 있습니다.

검찰은 원래 정 교수 구속기소 전에 조 전 장관을 조사하려고 했지만 정 교수와 동생 조씨 등이 건강상 문제를 이유로 불출석함에 따라 수사 일정을 조정했습니다.

검찰 안팎에서는 조 전 장관의 소환이 이르면 이번 주중에 이뤄질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합니다.

하지만, 검찰이 최근 조 전 장관 부부의 금융계좌 일부에 대한 압수수색 영장을 발부받아 자금 흐름을 추적하고 있고 조 전 장관 연구실을 압수수색하는 등 증거 확보에 나서고 있기 때문에 서둘러서 조 전 장관을 소환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시각도 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