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美 백악관 변호사, '미·우크라 정상 통화' 입막음 시도

美 백악관 변호사, '미·우크라 정상 통화' 입막음 시도
▲ 美 하원 탄핵조사 증언차 의회 도착하는 알렉산더 빈드먼 중령

미국 민주당의 탄핵 추진 발단이 된 미·우크라이나 정상 간 통화 녹취록을 별도의 '극비 서버'로 옮긴 백악관 변호사가 통화 내용에 우려를 표한 당국자에게 함구령을 내리며 '입막음'을 시도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지난달 29일 하원에 출석했던 알렉산더 빈드먼 중령은 당시 비공개 증언에서 이러한 내용으로 자신의 경험담을 진술했다고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가 현지시간으로 그제(1일) 보도했습니다.

폴리티코에 따르면 빈드먼 중령은 지난 7월 25일 트럼프 대통령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의 전화 통화 내용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기 위해 존 아이젠버그 법률부고문을 찾아갔습니다.

아이젠버그 법률부고문은 빈드먼 중령의 우려 표명 내용을 메모한 뒤 내용상의 민감성을 감안해 자신의 차석인 마이클 엘리스와 대응 방안을 숙의했다고 빈드먼 중령은 당시 증언에서 밝혔습니다.

이후 아이젠버그 법률부고문이 취한 조치가 통화기록을 극소수의 인사만 접근할 수 있는 별도의 보안 서버로 옮겨 보관토록 하는 결정이었다는 겁니다.

며칠 뒤 아이젠버그 법률부고문은 빈드먼 중령에게 통화 내용에 대해 누구에게도 발설하지 말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빈드먼 중령은 통화 기록을 보안 서버로 옮긴 조치 자체에 대해 '은폐의 증거'라고 생각하진 않았지만, 아이젠버그 법률부고문이 자신에게 '침묵'을 지시하자 불안감을 느꼈다고 진술했던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빈드먼 중령은 지난해 7월 군에서 백악관 국가안보회의로 파견된 우크라이나 전문가로, 트럼프 대통령이 젤렌스키 대통령에게 조 바이든 전 부통령의 수사를 종용한 7월 25일 통화를 직접 들은 당국자 중 한 명입니다.

빈드먼 중령은 지난달 29일 하원 비공개 증언을 통해 당시 통화 내용을 듣고 미국의 국가안보를 약화할 것으로 우려했다고 증언해 파장을 일으킨 바 있습니다.

빈드먼 중령의 이러한 진술에 대한 반응 요청과 관련, NSC나 아이젠버그 법률부고문은 답을 보내지 않았다고 폴리티코는 보도했습니다.

폴리티코는 아이젠버그 법률부고문의 통화 내용 관련 입막음 시도는 통화 자체가 아무런 문제가 없고 완벽했었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주장을 약화하는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민주당은 아이젠버그 법률부고문에 대해서도 하원 탄핵 조사의 일환으로 오는 4일 증언을 요청한 상태입니다.

백악관은 전·현직 당국자들에게 하원 탄핵 조사에 응하지 말라는 지침을 내린 바 있습니다. 

(사진=AFP,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