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독도 사고 헬기 모습 공개 "뒤집힌 상태로 동체 · 꼬리 분리"

지난달 31일 독도 인근에서 응급환자를 이송하다 추락한 중앙119구조본부 헬기의 기체 모습.
응급환자 이송 중 독도 인근 해상에서 추락한 소방 헬기는 동체와 꼬리가 완전히 절단된 채 110m가량 떨어져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수색당국은 탐색 결과 헬기 동체는 거꾸로 뒤집어져 프로펠러가 해저 면에 닿아 있는 상태였고, 헬기 꼬리는 동체로부터 완전히 분리돼 110m 떨어진 곳에 있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무인잠수정을 통해 외부에서 제한적으로 확인한 결과 헬기 동체 내부에서 1구, 꼬리 부분 인근에서 2구 등 시신 3구를 발견했습니다.

꼬리 쪽에서 발견된 시신 2구의 위치는 동체로부터 90m와 150m에 있었다고 해경은 밝혔습니다.
'독도 추락 헬기' 수중 무인 탐색 중인 청해진함 (사진=해양경찰청 제공, 연합뉴스)
이날 오전 9시 24분께 헬기 동체로부터 90m 떨어진 곳에서 발견된 시신 1구는 상의가 벗겨진 상태였고, 하의는 검은색 긴바지를 착용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이어 오전 10시 8분께 헬기 동체에서 150m 떨어진 곳에서 발견된 추가 시신 1구도 상의는 탈의한 채 검은색 반바지를 착용했는데 전날 발견된 실종자로 추정된다고 해경은 밝혔습니다.

동체 내 시신 1구는 이날 낮 12시 28분께 헬기 동체 탐색 중 발견됐으며 헬기 구조물에 가려 발 부분만 확인했습니다.

이날 수중 집중 수색에는 해군 해난구조대(SSU) 소속 심해잠수사 50여 명이 투입됐습니다.

이들은 시신 수습 및 실종자 확인을 위해 오후 3시 14분부터 포화 잠수를 진행 중입니다.

심해잠수사들은 사고 헬기의 동체와 동일한 수심에 내려진 감압챔버에서 휴식하면서 수중 수색 및 시신 인양을 진행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수색 당국은 시신을 수습한 뒤 지문 및 가족 확인을 통해 최종적으로 신원을 확인할 방침입니다.

수색 당국은 헬기 동체에 대한 정밀 수색을 벌인 뒤 동체 쪽에서 발견된 시신을 먼저 인양할지, 동체와 함께 인양할지 결정할 방침입니다.

헬기가 추락한 해저 바닥의 수심은 해경 잠수사가 동체 인근에서 실측한 결과 78m로 확인됐습니다. 전날 어군탐지기로 측정 당시의 헬기 추락지점의 수심은 72m였습니다.

다만 측정 위치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고 해경은 밝혔습니다.

해상 수색은 독도 남쪽 직경 약 37㎞를 10개 수색 구역으로 나눠 해경 함정 5천, 해군 함정 5척 등 18척의 함정과 7대의 항공기를 투입해 진행 중입니다.

그러나 오는 3일 동해 남부 앞바다와 동해 중부 먼바다, 동해 중부 앞바다 등 동해상에 풍랑 예비특보가 내려지는 등 기상이 악화함에 따라 실종자 추가 수습과 동체 인양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해경 관계자는 "내일부터는 기상 여건이 좋지 않을 것으로 예상돼 가급적이면 이날 중 동체를 인양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사고 헬기에는 기장과 부기장, 정비사 1명, 항공구급사 1명, 항공구조사 1명 등 소방공무원 5명과 손가락 절단 환자, 환자의 동료 선원 등 7명이 탑승했습니다.  

(사진=실종자 가족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