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韓 하이테크 수출 세계 5위지만 반도체·중국에 '편중'

韓 하이테크 수출 세계 5위지만 반도체·중국에 '편중'
한국의 하이테크 제품의 세계 시장 점유율은 5위에 달하지만, 품목은 반도체, 국가는 중국에 지나치게 편중돼 있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이 31일 내놓은 '주요국 하이테크 수출 동향과 미중 무역 분쟁에의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하이테크 제품 수출액은 2천47억 달러(약 239조 원)로 집계됐습니다.

총수출액의 33.8%에 달하는 규모입니다.

하이테크 제품은 제조 과정에서 연구개발(R&D) 비중이 8% 이상인 제품으로 전자통신기기, 항공우주제품, 의약품, 화학품, 전자기기 등이 여기에 속합니다.

세계 시장에서 한국 하이테크 제품이 차지하는 비중은 5.7%로 중국(20.9%), 미국(11.5%), 홍콩(9.3%), 독일(6.8%)에 이어 다섯 번째로 많았습니다.

하지만 세부적으로 들여다보면 품목별로는 반도체의 비중이 56.6%, 국가별로는 중국 및 홍콩이 56.8%로 전체의 절반을 넘어섰습니다.

만약 반도체 업황이 부진하거나 중국과의 교역이 위축되면 한국의 하이테크 제품 수출 전체가 흔들릴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주요국의 하이테크 수출 품목 구조를 보면 한국과 중국은 전자통신기기, 컴퓨터 및 사무기기, 과학기기 등 정보기술(IT) 및 정밀기기의 비중이 90%를 넘었습니다.

반면에 일본, 독일, 미국은 전자통신기기뿐만 아니라 비전기기기, 의약품, 항공우주 등 여러 품목이 비교적 균등하게 분포돼 있었습니다.

2011~2018년 세계 하이테크 품목별 연평균 증가율을 보면 의약품이 7.0%로 가장 크게 성장했고 항공우주 품목도 6.8%의 높은 증가세를 나타냈습니다.

보고서는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의약품, 항공우주 등 고부가가치 품목에 대한 R&D와 정부 지원 등으로 미국, 독일과 같은 선진국형 수출 품목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미중 무역 분쟁도 한국 하이테크 수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입니다.

지난해 미국이 중국에 대해 관세 부과 계획을 발표한 품목에는 반도체, 모바일, 바이오, 제약, 의료기기 등 하이테크 제품 다수 포함돼 있기 때문입니다.

미국, 중국 수입시장 내 경합도 및 점유율을 고려하면 미국과 중국이 상호 고관세를 부과할 경우 한국 제품은 미국 수입시장에서 중국산 수입품을 대체하는 효과를 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해당 품목의 수출액이 크지 않아 전체적인 효과는 제한적일 것"이라고 보고서는 예상했습니다.

이어 "한국 하이테크 제품의 세계시장 점유율이 5위라는 것은 수출 경쟁력 측면에서 매우 긍정적"이라면서도 "미중 무역 분쟁의 진행 경과에 따라 하이테크 수출에 긍정적인 영향과 부정적인 영향이 혼재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함께 대책을 고민해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