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김정은이 "남루하다" 한 금강산 관광시설, 곳곳에 녹슬고 곰팡이

김정은이 "남루하다" 한 금강산 관광시설, 곳곳에 녹슬고 곰팡이
금강산관광지구의 남측 시설 일부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지적대로 '관리가 되지 않아 남루하기 그지없는' 상태임을 보여주는 사진들이 29일 공개됐습니다.

통일부는 이날 현대아산에서 받은 금강산관광지구의 남측 시설 사진을 언론에 제공했습니다.
금강산관광지구 온정각 서관
금강산관광지구 온정각 동관
사진을 통해 해금강호텔, 구룡빌리지, 금강펜션타운, 온정각, 이산가족면회소, 문화회관 등 민간기업과 한국관광공사, 정부가 소유한 건물들이 지난 10여 년간 관리되지 않고 방치된 모습이 드러났습니다.

각각 1998년과 2005년 개관한 숙소인 금강빌리지와 구룡빌리지는 김정은 위원장의 표현대로 "무슨 피해지역의 가설막", "건설장의 가설건물"을 방불케 했습니다.
금강산관광지구 문화회관
실제 사업자인 현대아산은 관광지구 조성 당시 금강산 현지에 기존 시설이 없고 물류비용이 많이 드는 상황에서 개관을 서두르고자 컨테이너를 숙소로 개조했으며 문화회관 등에도 내구성 있는 자재를 사용하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620석의 공연장인 문화회관은 1999년 2월 개관했는데 바닥 표면이 벗겨진 모습도 보입니다.
금강산 관광시설, 금강산관광지구  이산가족면회소 (사진=통일부 제공)
2008년 7월 지하 1층, 지상 12층 규모로 완공된 이산가족면회소는 작년 8월 남북 이산가족상봉 행사 준비를 위해 방북한 시설점검단도 "전반적으로 개보수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했으며, 정부도 상설면회소 개소를 위해 개보수 작업을 진행할 예정이었습니다.
금강산관광지구 해금강호텔 (사진=통일부 제공, 연합뉴스)
바다 위에 떠 있어 강한 바람과 염분에 노출된 해금강호텔은 곳곳에 녹슨 모습은 북한 관영매체 사진에서도 역력했습니다.

판매시설과 식당, 카페, 사진관 등 부대시설로 구성된 온정각도 건물 천장 등에 곰팡이와 흠집이 보였습니다.

앞서 김연철 통일부 장관도 지난 23일 "금강산에 있는 우리 시설들은 이미 10년 정도 경과하는 과정에서 유지·관리를 하지 않아서 많이 낡은 것은 사실"이라며 이들 시설의 개보수 필요성을 인정했습니다.

통일부에 따르면 금강산관광지구 투자액은 현대아산이 1억9천660만 달러, 한국관광공사와 에머슨퍼시픽 등 기타 기업이 1억2천256만 달러입니다.

총 3억1천916만 달러로 이날 환율로 약 3천717억 원입니다.

정부가 이산가족면회소(550억 원), 관광도로(26억6천만 원), 소방서(22억 원)에 투자한 598억6천만 원을 포함하면 4천300억 원이 넘습니다.

현대그룹은 금강산 지역을 50년간 임차하는 대가로 2005년 2월까지 북한에 9억4천200만 달러를 지불하기로 합의했으나 4억5천500만 달러를 아직 지급하지 못했습니다.

금강산을 방문한 관광객은 1998년 1만554명으로 시작해 2007년 34만5천6명으로 피크를 찍었으며 2008년 7월 관광객 박왕자씨 피격사건으로 중단될 때까지 누적 193만4천662명이 다녀갔습니다.

(사진=통일부 제공,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