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美, 외국에 對이란 인도적 물품 판매 명세 제출 요구

美, 외국에 對이란 인도적 물품 판매 명세 제출 요구
미국 재무부와 국무부는 현지 시간으로 어제(25일) 외국 정부에 의약품, 식량 등 인도적 물품을 이란에 판매한 구체적인 명세를 주기적으로 제출할 것을 요구했습니다.

미국 정부의 방침에 따르면 이란에 인도적 물품을 판매하는 데 관여한 모든 정부 기관과 기업, 은행은 매월 송장, 거래처 등을 자세히 담은 보고서를 미 재무부에 제출해야 합니다.

특히 이란의 거래처가 최근 5년 내 미국, 유럽연합(EU), UN의 제재 대상이었는지도 명기해야 합니다.

미국 정부는 대이란 제재의 예외인 인도적 물품을 이란에 합법적으로 판매하는 절차를 마련하겠다는 취지라고 설명했습니다.

브라이언 훅 미 국무부 이란특사는 "인도적 물품을 위한 새로운 통로를 구축하면 외국 정부와 금융 기관, 사기업이 이란 국민을 위해 합법적으로 인도적 교역을 할 수 있을 것"이라며 "돈(이란과 교역 자금)의 종착지가 '잘못된 손'이 될 위험도 줄일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이 방침은 비제재 품목까지 대이란 교역을 감시하겠다는 메시지가 될 수도 있습니다.

지난해 미국이 이란 핵합의를 일방적으로 파기하고 대이란 제재를 복원하면서 제재 품목뿐 아니라 인도적 물품의 거래도 위축된 상황입니다.

미 정부는 이란이 인도적 물품 거래로 위장해 자금을 세탁할 수 있다는 의심을 품어온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미 중앙정보국, CIA와 재무부 관리 출신의 브라이언 오툴 애틀란틱 카운슬 선임 연구원은 AFP통신에 "이 방침은 이란의 서민을 돕기보다는 대이란 거래 관련 정보를 더 모으려는 게 목적인 것 같다"며 "미 정부가 내세운 명분의 정반대 효과를 낼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또 유럽 측이 핵합의를 유지하려고 이란과 교역을 위해 설립한 '인스텍스'(유럽-이란 교역을 전담하는 금융회사)의 가동을 막으려는 미 정부의 압박이라고도 해석했습니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