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82년생 김지영' 논란 속 개봉…극장에선 뜻밖의 반응들

<앵커>

이른바 젠더 논쟁을 일으켰던 베스트셀러 소설 '82년생 김지영'이 영화로 만들어져 개봉했습니다. 개봉 전엔 남녀 사이에 평이 극단적으로 갈렸는데, 영화를 보고난 사람들의 평은 뜻밖이었습니다.

김영아 기자입니다.

<기자>

뜨겁게 공감을 쏟아내는 여성들의 10점 만점 행렬. 이에 맞서 격한 거부감을 토로하는 남성들의 1점 행렬.

'82년생 김지영' 개봉 전부터 온라인을 뜨겁게 달군 이른바 '평점 전쟁'까지는 새로울 게 없었습니다.

하지만 영화가 개봉한 뒤 실제 극장에선 뜻밖의 풍경이 펼쳐지고 있습니다.

[박요나/'82년생 김지영' 관객 : 남자분들 또한, 그 영화 속에서 고충들을 저는 느꼈어요.]

[방범식/'82년생 김지영' : 눈물이 났습니다. 그래서 제 아내에게도 앞으로 더 열심히 잘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소설은 의사의 눈으로 걸러진 환자 김지영 씨에 대한 3인칭 보고서였지만, 영화는 지영 씨의 삶을 관객들에게 직접 보여주는 1인칭 드라마입니다.

[가끔은 행복하기도 해요.]

그 속엔 건조한 제3자의 시선이 놓친 또 하나의 삶이 있습니다.

[네가 가끔 다른 사람이 돼.]

원작보다 한층 확장된 남성 캐릭터의 역할이 남녀 대립이 아닌 남녀가 함께 넘어야 할 사회 구조의 문제로 관객들의 시선을 이동시킨 것입니다.

원작과 달리 희망을 암시하는 결말도 공감을 부른 요소로 꼽힙니다.

[강유정/강남대 교수·영화 평론가 : 일종의 방향 제시이자 바람이고, 저는 그게 또 한 편으로는 대중예술이 갖고 있는 판타지가 주는 긍정적인 기능 중 하나라고 봅니다.]

따뜻한 시선과 영리한 결말로 달라진 '82년생 김지영'이 대립과 대결로만 치닫던 젠더 논쟁에 변화의 계기가 될지 주목됩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