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정부 '물산업 허브' 청사진 믿었는데…예산 삭감에 분통

<앵커>

정부가 대구에 국가 미래를 이끌 글로벌 물산업 허브를 조성하겠다고 했지만 정작 핵심 예산은 줄줄이 깎는 모순을 보이고 있습니다. 정부 청사진을 믿고 입주한 기업들의 불만도 커지고 있습니다.

박철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문재인 대통령(지난 3월 '세계 물의 날 기념식') : (국가 물산엄 클러스터를 통해) 국내 물산엄을 진흥할 것입니다. 연구 개발, 기술 성능 확인과 인증·사업화·해외시장 진출까지 물산엄의 전 분야에 걸쳐 지원하겠습니다.]

대통령의 전폭적인 지원 약속에도 불구하고 물산엄 클러스터의 현실은 녹록지 않습니다.

지난달 출범식이 열린 글로벌비즈니스센터를 클러스터의 얼굴로 만들겠다는 계획은 시작부터 난항입니다.

물산엄 박물관을 조성하고 입주기업 제품과 신기술도 한데 모은 상설전시관도 건립하겠다며 내년도 예산 50억 원을 신청했지만 정부 예산안에는 고작 10억 원만 반영됐기 때문입니다.

12억 원을 올린 시제품 제작실 예산은 한 푼도 반영되지 않았습니다.

3D프린터 등 첨단 장비로 시제품 제작을 돕는, 기업들이 절실히 원하는 핵심 시설입니다.

[류형석/국가 물산엄 클러스터사업단 과장 : (예산을 확보하지 못해) 장비나 시설이 좀 덜 갖춰졌을 때는 상대적으로 당연히 입주기업들이 물 클러스터에 들어와 누릴 수 있는 혜택들이 줄어들 수밖에 없다고….]

운영비도 60억 원 넘게 삭감되면서 기업 입주가 급증할 내년에 실험실 법정 인력 등 54명을 증원한다는 구상에 제동이 걸렸습니다.

유체성능시험센터는 129억 원을 요구했다 7억만 반영됐고, 2백억 정도 필요하다는 R&D 예산은 5억 원 뿐입니다.

물 클러스터 운영기관인 한국 환경공단의 경우 수자원공사와 달리 정부 예산이 없으면 사업추진을 하기 힘든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물 클러스터 입주기업 관계자 : (정부가) 특별한 산업에 특별한 노력을 기울이자고 하면 그걸 특별하게 다뤄줘야 하는데 (이런 식이라면) 그냥 클러스터는 그냥 공단으로 전락하지, 아무것도 없습니다.]

물 기업 대부분이 영세업체인 현실 속에서 이런 식의 지원이라면 2030년 물산엄 매출 50조 원을 달성한다는 정부 청사진은 헛구호가 될 공산이 큽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