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3분기 경제성장률 0.4%로 둔화…연 2% 성장 '빨간불'

3분기 경제성장률 0.4%로 둔화…연 2% 성장 '빨간불'
우리나라의 올해 3분기 경제성장률이 0.4%로 둔화했습니다.

연간 성장률이 2%에 못 미칠 가능성이 커졌다는 전망이 나옵니다.

한국은행은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전분기보다 0.4% 증가했다고 24일 밝혔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로는 2.0% 증가했습니다.

이날 발표는 속보치로, 향후 잠정치에서 수정될 수 있습니다.

둘 사이의 오차는 보통 0.1%포인트 안팎입니다.

3분기 민간소비는 0.1% 증가했습니다.

증가세가 2분기(0.7% 증가)보다 크게 둔화했습니다.

승용차 등 내구재 소비는 늘었지만 일본여행을 중심으로 한 해외여행(국외소비)과 의류 등 준내구재 소비는 줄었습니다.

정부소비는 1.2% 증가했습니다.

'문재인 케어'로 건강보험급여비 지출이 늘어난 영향이 컸습니다.

증가폭이 급등한 2분기(2.2% 증가)에 비해선 줄어들었습니다.

한은 관계자는 "고3 무상교육으로 교육비 일부가 GDP 내에서 민간 소비가 정부 소비로 이전된 점도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습니다.

건설투자는 건물·토목건설이 모두 줄어 5.2% 감소, 2분기(1.4% 증가)의 증가세에서 돌아섰습니다.

설비투자는 운송장비 덕에 0.5% 증가했지만 2분기(3.2% 증가)보다 회복세가 부진했습니다.

반도체 제조용 장비 등 기계류 투자는 줄었습니다.

수출은 반도체와 자동차를 중심으로 4.1% 증가했습니다.

2분기(2.0% 증가)에 비해선 회복세를 보였습니다.

수입은 0.9% 늘었습니다.

업종별로 보면 제조업이 2.1%, 농립어업이 1.4%, 서비스업은 0.4% 성장했습니다.

건설업은 -4.0%로 나타났습니다.

전기·가스·수도사업은 12.3% 감소했습니다.

선선한 날씨로 소비자들이 에어컨 사용을 줄였고, 제조업 경기둔화로 산업용 전기 소비도 줄어든 영향입니다.

3분기 성장률은 시장의 예상을 밑돌았습니다.

전문가들은 대부분 0.5∼0.6% 성장을 예상했습니다.

그 배경으로는 미약한 민간경기 회복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정부의 재정지출 효과가 전기 대비로는 반감한 점이 꼽힙니다.

정부의 성장기여도가 2분기 1.2%포인트에서 3분기 0.2%포인트로 낮아졌습니다.

2분기가 1분기(-0.6%포인트) 대비 크게 오른 영향이 컸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로는 2분기(1.8%포인트)와 3분기(1.6%포인트)가 비슷한 수준입니다.

민간의 성장기여도는 2분기 -0.2%포인트에서 3분기 0.2%포인트로 돌아섰습니다.

'플러스 전환'은 긍정적이지만, 재정지출의 빈자리를 메우기에는 역부족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