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실업급여 받는 도중 재취업 성공은 29%"

"실업급여 받는 도중 재취업 성공은 29%"
일자리를 잃어 실업급여를 받는 10명 중 7명은 수급 기간 안에 재취업에 성공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재취업이 어려운 만큼, 실업급여를 받는 동안 안정적으로 직업을 구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24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더불어민주당 김두관 의원실이 고용노동부로부터 받은 자료를 보면 실업급여 수급자의 재취업률은 작년 28.9%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2017년(29.9%)보다 1.0%포인트 낮은 수치입니다.

작년 총 130만 4천458명이 실업급여를 받았는데, 이 가운데 29만 2천246명만 실업급여를 받는 중에 재취업에 성공했습니다.

나머지는 급여 기간이 끝난 뒤에도 일자리를 찾지 못했습니다.

작년 재취업률은 여성(22.3%)이 남성(35.7%)보다 10%포인트 이상 낮았습니다.

연령대로 보면 30대(32.4%)와 40대(33.4%)에서는 상대적으로 재취업률이 높았습니다.

하지만 사회초년생인 30대 미만(23.7%)과 노인층인 60대 이상(19.3%)에서는 낮았습니다.

재취업률이 낮아진 이유는 고용시장 여건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실업급여 수혜자의 퇴직 사유를 보면 52.6%가 '경영상 필요에 따른 권고사직이나 명예퇴직'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계약 만료·공사 종료에 따른 퇴직'이 31.0%, 정리해고에 따른 권고사직이 4.1% 등으로 뒤를 이었습니다.

정부는 이달부터 실업급여 지급 기간을 90∼240일에서 120∼270일로 확대하고 급여액도 늘렸습니다.

김두관 의원은 "실업급여는 실직 뒤 생계 불안을 극복해 안정적인 재취업의 기회를 지원해주는 제도이지만 여성과 60대 이상 노인 등을 중심으로 재취업이 상당히 저조하다"며 "실업자들이 안정적으로 구직활동을 할 수 있는 수급급여 기반을 마련하고, 정부 차원에서도 적극적인 취업 알선과 구직활동 지원을 통해 재취업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