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정부 "수출·투자 부진 흐름 지속…미·중 협상 불확실 상존"

정부 "수출·투자 부진 흐름 지속…미·중 협상 불확실 상존"
정부가 최근 한국 경제에 대해 "생산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으나 수출과 투자의 부진한 흐름은 지속하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기획재정부는 18일 발간한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10월호에서 "일본 정부의 수출규제 조치가 이어지고 미중 무역갈등은 1단계 합의가 있었으나 향후 협상 불확실성이 상존한다"며 "글로벌 교역과 제조업 경기 위축 등에 따른 세계 경제 성장세 둔화와 반도체 업황 부진이 지속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정부는 그린북에서 '부진'이라는 표현을 지난 4월호부터 7개월 연속 썼습니다.

2005년 3월 그린북 첫 발간 이후 가장 깁니다.

4∼5월에는 '광공업 생산, 설비투자, 수출'이 부진하다고 판단했지만, 그 후에는 '수출, 투자'로 부진 판단 범위를 축소했습니다.

8월 주요 지표를 보면 전월 대비 광공업 생산은 1.4% 감소했지만 서비스업 생산은 1.2% 증가해 전(全)산업 생산은 0.5% 늘었습니다.

다만 9월 수출은 1년 전보다 11.7% 줄었습니다.

중국 등 세계 경제 둔화, 반도체 업황 부진 등의 영향으로 작년 12월 이후 10개월 연속 감소세를 나타낸 것입니다.

8월 설비투자는 기계류와 운송장비 투자가 증가해 전월보다 1.9% 늘었습니다.

건설기성(불변)은 건축실적은 감소했으나 토목이 늘며 전월보다 0.3% 증가했습니다.

건설수주, 건축허가면적 감소 등은 향후 건설기성에 부정적 요인이나 내년 정부의 사회간접자본(SOC) 예산(정부안) 증가는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정부는 분석했습니다.

9월 소비자물가는 0.4% 떨어졌습니다.

1965년 공식 집계 이래 첫 하락입니다.

농·축·수산물과 석유류 가격 하락세가 지속했고, 기저효과도 있었기 때문이라고 정부는 판단했습니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는 0.6% 상승했습니다.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96.9로 한 달 전보다 4.4포인트 올랐습니다.

제조업 기업경기실사지수(BSI)는 전월보다 3포인트 상승한 71을 나타냈습니다.

9월 고용을 보면 취업자는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1년 전보다 34만8천명 증가했습니다.

국내 금융시장은 주가와 국고채 금리가 9월 중순 이후 하락했습니다.

환율은 9월 들어 하락(원화 강세)하다가 중순 이후 상승하는 모습입니다.

정부는 "일본 수출규제 대응 등 리스크 관리에 만전을 기하면서 재정 집행을 가속화하고 하반기 경제활력 보강 추가 대책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겠다"며 "가용한 정책수단을 총동원해 투자·내수·수출 활성화를 적극적으로 뒷받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