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브라질 빈부격차 심화…상위 1% 평균소득이 하위 50%의 33배

브라질에서 빈부격차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재정적자를 이유로 사회구호 프로그램이 축소되는 것이 주요인으로 꼽힙니다.

브라질 정부의 통계기관인 국립통계원(IBGE)은 16일(현지시간) 발표한 보고서를 통해 지난해 부유층과 빈곤층의 소득 격차가 역대 최대 수준을 기록했다고 밝혔습니다.

IBGE의 조사에서 상위 1%의 월평균 소득은 하위 50%의 33.8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상위 1%의 월평균 소득은 2만7천744헤알(약 789만5천 원), 하위 50%는 820헤알(약 23만3천 원)이었습니다.

지난해 부유층과 빈곤층의 소득 격차는 IBGE의 공식적인 조사가 시작된 지난 2012년 이래 가장 큰 폭입니다.

2017년과 2018년을 비교하면 부유층의 소득은 8.4% 늘어난 반면 빈곤층의 소득은 3.2% 감소했습니다.

조사 책임자인 마리아 루시아 비에이라 연구원은 "최근 수년간 경제침체에 따른 실업자 증가와 실질소득 감소 등이 빈곤층에 더 큰 부담을 안겼다"고 말했습니다.

전문가들은 재정위기에 따른 사회구호 프로그램 축소도 빈부격차의 주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실제로 빈곤층·극빈층에 생계비와 교육비를 지급하는 복지 프로그램인 '보우사 파밀리아(Bolsa Familia)'의 혜택을 받는 주민은 2012년 15.9%에서 2018년에는 13.7%로 줄었습니다.

브라질 정부는 내년 '보우사 파밀리아' 예산을 올해와 비슷하게 300억 헤알(약 8조5천400억 원)로 책정했으나 물가 상승률을 반영하지 않아 실질적으로는 규모가 줄었습니다.

이 프로그램에 따라 빈곤·극빈층에 지급되는 생계비는 1가구당 평균 188.63헤알(약 5만4천800원)입니다.

프로그램의 혜택을 받는 빈곤·극빈층 가구는 올해 1천380만 가구에서 내년에는 1천320만 가구로 줄어듭니다.

보우사 파밀리아 축소 움직임에 대해 국제사회도 우려를 나타냈습니다.

앞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보우사 파밀리아가 빈곤·극빈층을 위한 거의 유일한 공공 지출이라면서 브라질 정부에 지원 확대를 촉구했습니다.

세계은행(WB)도 브라질 정부가 긴축을 앞세워 빈곤·극빈층 지원을 축소할 가능성을 우려하면서 보우사 파밀리아 프로그램을 확대해야 한다고 권고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