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우크라이나 대통령 "트럼프, 바이든 아들 조사 압박 안 해" 거듭 주장

우크라이나 대통령 "트럼프, 바이든 아들 조사 압박 안 해" 거듭 주장
▲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신임 우크라이나 대통령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6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지난달 말 뉴욕 정상회담을 위한 어떤 사전 조건도 없었다고 주장했다.

'우크라이나 의혹'으로 탄핵 조사 대상이 된 트럼프 대통령이 조 바이든 전 미 부통령 아들 관련 조사를 압박한 사실도 없다고 거듭 밝혔다.

타스 통신에 따르면 젤렌스키 대통령은 일본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바이든 아들 조사에 대한 트럼프의 압박, 트럼프와의 정상회담을 위한 미국 측의 조건 제시 등과 관련 "내게 압박을 가하지 않았으며 (정상회담을 위한) 어떤 사전 조건도 없었다"고 말했다.

그는 바이든 전 부통령 아들 헌터 바이든의 우크라이나 가스회사 이사 재직 시절 비리 혐의 조사에 대해 "현 우크라이나 헌법에 따르면 대통령은 어떤 사건에 대한 수사를 촉구할 권한이 없다"고 강조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지난달 24일(뉴욕 시간) 유엔 총회 참석을 위해 미국 뉴욕에 도착한 뒤 언론 인터뷰에서도 '트럼프 대통령이 압박을 가했는가'라는 질문을 받고 "누구도 나를 압박할 수 없다. 왜냐하면 나는 독립 우크라이나의 대통령이기 때문이다"라고 주장한 바 있다.

젤렌스키는 그 이튿날인 25일 뉴욕에서 트럼프와 정상회담을 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의 '우크라이나 의혹' 사건과 연계돼 주목받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7월 25일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바이든의 아들에 관한 많은 이야기가 있다"며 조사를 압박했다는 '우크라이나 의혹'으로 미 하원의 탄핵 조사를 받게 됐다.

트럼프 대통령이 제기한 바이든 부자 관련 의혹은 지난 2016년 현직 부통령이던 바이든이 우크라이나 측에 빅토르 쇼킨 당시 검찰총장을 해임하지 않으면 10억 달러에 이르는 미국의 대출 보증을 보류하겠다고 위협했다는 주장을 근거로 한 것이다.

바이든 측은 쇼킨 검찰총장이 우크라이나 내부의 부패 척결을 위해 충분한 노력을 기울이지 않고 있어 개혁에 속도를 내도록 압박을 가한 것으로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그 무렵 바이든의 아들 헌터가 이사로 있던 우크라이나 가스회사 '부리스마 홀딩스'가 현지 검찰의 수사를 받고 있었다는 점에서 바이든 전 부통령이 아들에 대한 수사를 막으려 쇼킨 총장 해임을 요구한 것이라는 주장도 일각에서 나왔다.

논란의 대상인 바이든 전 부통령 부자의 비리 여부와는 별도로 트럼프가 내년 대선의 민주당 후보로 유력한 자신의 정적 바이든을 흠집 내기 위해 외국의 도움을 받으려 했다는 의혹이 부각되면서 해당 사건은 트럼프 대통령 탄핵 조사로까지 번졌다.

(연합뉴스/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