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발암 우려물질' 위장약 알비스·라비수·큐란 처방 많아

발암 우려 물질이 검출돼 판매가 중단된 라니티딘 성분 의약품 가운데 2017년 이후 처방량이 많았던 제품은 알비스, 라비수, 큐란 등으로 집계됐습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정춘숙(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보면, 라니티딘 성분 전체 처방량은 2017년 4천801만건, 2018년 5천360만건, 2019년 상반기 2천914만건 등 1억3천75만건에 달했습니다.

처방량이 많은 상위 10개 품목은 알비스정(대웅제약)이 1천723만건으로 가장 많았고, 그 뒤로 라비수정(대웅바이오) 649만건, 큐란정(일동제약) 533만건, 큐란정75밀리그램(일동제약) 481만건, 루비스정(한국휴텍스제약) 418만건 순이었습니다.

정 의원은 "현재 큐란 등 일부 약만 발암물질 원료가 사용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며 "큐란 이외에도 처방량이 많은 제품이 있기 때문에 위장약을 복용하고 있는 환자는 다시 한번 복용 중인 의약품을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난달 26일 잔탁 등 라니티딘 성분 원료의약품 269개의 제조·수입·판매를 중지시켰습니다.

위궤양 치료제나 역류성 식도염 치료제의 주원료로 사용되는 라니티딘 성분 원료의약품을 수거·검사한 결과 NDMA(N-니트로소디메틸아민)가 잠정관리기준을 초과해 검출된 데 따른 겁니다.

NDMA는 세계보건기구 국제암연구소(IARC)가 사람에게 발암물질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정한 인체 발암 추정물질(2A)입니다.

라니티딘에서 NDMA가 검출됐다는 소식은 최근 미국 식품의약품청(FDA)과 유럽의약품청(EMA)을 통해 먼저 알려졌습니다.

다만, 식약처는 라니티딘 성분 의약품을 단기 복용한 경우 인체 위해 우려는 크지 않다고 밝혔습니다.

판매중지 의약품 전체 목록은 식약처(www.mfds.go.kr)와 보건복지부(www.mohw.go.kr)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