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軍, DMZ·민통선 이북 일대서 이틀째 돼지열병 항공방역

軍, DMZ·민통선 이북 일대서 이틀째 돼지열병 항공방역
군 당국은 오늘(5일) 비무장지대(DMZ)와 민간인통제선 이북 접경지역 일대에서 이틀째 아프리카돼지열병 항공 방역에 나섰습니다.

산림청 소속 헬기가 투입되어 진행된 항공 방역은 서부 및 중부전선 지역 일대에서 집중적으로 이뤄진다고 군의 한 관계자가 밝혔습니다.

동부전선 지역은 기상 상황이 나빠 항공 방역은 실시되지 않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국방부는 경기 연천 DMZ의 야생멧돼지 폐사체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가 검출됨에 따라 농림식품축산부, 산림청 등 관계기관과의 협력하에 어제 오후 3시 반부터 헬기를 투입해 방역을 시작했습니다.

일주일 일정으로 실시되는 항공 방역을 위해 국방부는 유엔군사령부와 협의로 북한 측에 관련 계획을 통보했습니다.

이번 항공 방역은 지난 2일 DMZ 안의 야생멧돼지 폐사체에서 돼지열병 바이러스가 처음 검출됨에 따라 이뤄졌습니다.

감염원인 야생멧돼지를 통한 2차 감염을 차단하기 위한 조치라고 국방부는 설명했습니다.

그러나 야생멧돼지가 GOP 철책을 뚫고 남쪽으로 이동할 가능성이 없다고 거듭 밝혔던 국방부가 뒤늦게 항공 방역에 나서면서 초기 방역이 부실했던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옵니다.

이번 항공 방역은 DMZ를 넘어 GOP 철책을 통과하는 야생멧돼지를 발견 즉시 '사살'하는 지침이 하달된 가운데 이뤄졌습니다.

국방부는 "야생멧돼지가 DMZ나 한강하구의 우리 측 지역으로 올라오는 경우 현장에서 포획 또는 사살로 즉각 대응할 것을 지침에 넣었고, DMZ 후방지역에서는 해당 지역 지방자치단체, 경찰과 협업해 수렵면허자에 의해 멧돼지를 사살하고 우리 군은 지원하겠다는 것도 포함했다"고 설명했습니다.

군은 열상감시장비 등을 이용해 야생멧돼지 이동 여부를 확인하고 있습니다.

국방부 관계자는 "북한 야생멧돼지가 한강, 임진강 유역으로 떠내려올 경우, 살아 있는 개체는 포획하거나 사살하도록 했으며,사체는 발견 즉시 돼지열병 감염 여부 등을 확인하도록 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