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사태 커지는데 관련 부처는 엇박자…감염경로도 '미궁'

<앵커>

이렇게 매몰 처분되는 돼지 수는 늘고 있는데, 주무부처인 환경부와 농림축산식품부는 엇박자를 내고 있습니다. 발생 열흘이 넘었지만 감염 경로도 아직 확인되지 않고 있습니다.

계속해서 김관진 기자입니다.

<기자>

아프리카 돼지열병 신고가 접수되면 검사팀은 시료를 채취해 농림축산 검역본부로 가져가 확진 여부를 판정합니다.

농림축산 검역본부는 경북 김천에 있습니다.

파주나 연천 등 경기 북부에서 주로 발생하다 보니 신고에서 확진까지 오랜 시간이 걸립니다.

하지만 인천에도 검사할 수 있는 곳이 있습니다.

환경부 산하 국립환경과학원입니다.

환경과학원에는 정밀 검사가 가능한 장비가 갖춰져 있어서 아프리카 돼지열병 바이러스에 감염됐는지 판단이 가능합니다.

농식품부는 그동안 국내에서 아프리카 돼지열병 확진 판정을 김천에서 할 수 있다고 말해 왔습니다.

[환경부 관계자 : (농식품부의) 질병 진단 체계나 확진 체계를 잘 모르기 때문에 우리가 관여할 수 있는 여지가 있는지 없는지 잘 모르니까….]

감염 경로를 놓고도 의견이 엇갈립니다.

발병 초기부터 환경부는 감염 원인에서 북한 야생 멧돼지를 배제했습니다.

하지만 농식품부는 여전히 야생 멧돼지를 주요 전염 경로 중 하나로 보고 있습니다.

때문에 농식품부는 멧돼지 개체수를 적극 관리해야 한다는 입장인데, 정작 개체수 조절 권한을 가진 환경부는 여기에 소극적입니다.

환경부 산하 환경과학원은 북한에서 내려온 강물 20곳 샘플을 조사한 결과 아프리카 돼지열병 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감염경로가 갈수록 미궁에 빠지는 만큼 부처 간 협업이 가능한 통합 지휘 체계가 절실합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