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지구 역사상 최근 5년 동안이 가장 더웠다…온난화 가속화

지구 온난화 속도가 최근 더 빨라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최근 5년간 세계는 역사상 가장 덥고 지구 온난화 주범인 이산화탄소 농도도 최고치였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특히 한국의 온난화는 세계 평균보다도 더 심각한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2일 기상청에 따르면 세계기상기구(WMO)는 23일(현지 시간) 미국 뉴욕에서 열리는 'UN 기후행동 정상회의'에 맞춰 이런 내용이 담긴 '2015∼2019년 지구 기후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보고서는 온실가스 농도가 매년 기록을 경신하고 있으며, 대표적인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 농도는 이전 5년(2011∼2015년)보다 20% 높아졌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지구의 이산화탄소 평균 농도는 올해 말 약 410ppm에 이를 것으로 보여 역사상 가장 가파른 상승세를 나타낼 것으로 WMO는 예상했습니다.

이 같은 온난화로 인해 현재 지구 평균 기온은 산업화 이전인 1850∼1900년보다 1.1도 상승했고, 이전 5년(2011∼2015년)보다는 0.2도 올랐습니다.

최근 5년간 지구 평균 해수면은 연평균 5㎜ 상승했습니다.

1993년 이후 연평균 3.2㎜ 상승한 것과 비교해 최근 상승률이 크게 증가했습니다.

남극과 북극, 그린란드 빙하도 계속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2017년 여름 해빙(海氷·바닷물이 얼어서 생긴 얼음) 넓이는 사상 최소였습니다.

작년 넓이는 사상 두 번째로 작았습니다.

2009∼2017년 남극에서 매년 손실되는 얼음 양은 2천520억t에 달해 1979년 400억t의 6배가 넘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페테리 탈라스 WMO 사무총장은 "지금과 같은 기후변화는 돌이킬 수 없는 심각한 재앙을 초래할 수 있다"며 "파리기후협약에 명시된 목표를 달성하려면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밝혔습니다.

국제사회는 2015년 파리기후협약에서 '이번 세기말(2100년)까지 지구 평균 온도가 산업화 이전보다 2도 이상 상승하지 않도록 하고, 1.5도 선을 넘지 않도록 노력한다'고 합의한 바 있습니다.

평균 온도 2도 상승을 막으려면 현재보다 3배 이상, 평균 온도 상승을 1.5도로 제한하려면 5배 이상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탈라스 사무총장은 강조했습니다.

기상청에 따르면 우리나라 최근 5년간 평균기온은 13.3도로, 이전 5년(2011∼2015년)보다 0.3도 상승했습니다.

이는 지구 평균기온 증가 폭보다 0.1도 큽니다.

우리나라 대표 기후변화 감시소가 있는 안면도의 작년 이산화탄소 연평균 농도는 415.2ppm으로, 전년(2017년)보다 3.0ppm 증가했습니다.

최근 10년 동안 우리나라 연평균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량은 2.4ppm으로 지구 증가량(2.3ppm)보다 많습니다.

최근 가장 큰 기상학적 위험 요소로 알려진 열파(heatwave)는 우리나라에서 작년의 기록적인 폭염과 열대야로 나타났다고 기상청은 전했습니다.

김종석 기상청장은 "한반도의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와 기온 상승이 전 지구 평균보다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민·관 모두의 적극적인 노력과 행동이 절실하다"고 말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