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공급망 얽힌 한일 자동차 업계, 수출규제 우려에 부품 재고 챙긴다"

"공급망 얽힌 한일 자동차 업계, 수출규제 우려에 부품 재고 챙긴다"
한일 양국이 상호 수출규제를 강화한 가운데 양국 자동차 업계가 재고 물량을 확대하고 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18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현대자동차는 자사에 대한 수출 물량을 늘려달라고 일본에 있는 복수의 부품업체에 요청했다고 관계자들이 밝혔다.

일본 아이치현 소재 업체인 덴소는 현대차의 요청에 따라 전자부품 수출 확대 등의 대응을 시작한 것으로 보이며 요코하마시에 본사가 있는 파이오락스는 변속기 용수철 수출을 늘려 대응하고 있다고 닛케이는 전했다.

자동차 배선 묶음인 '와이어 하니스' 제조업체인 야자키소교도 비슷한 요청을 받고 대응 중이다.

현대차는 이에 관해 "구매 정책에 관해 언급하지 않겠다"고 반응했다.

한국과 일본의 자동차 업계는 공급망이 서로 얽혀 있으며 일본 기업 역시 최근 수출 규제 확대 움직임에 위기감을 느끼고 대응에 나서고 있다.

예를 들어 차 문 손잡이나 열쇠 관련 부품을 다루는 일본 업체인 알파는 한국 업체로부터 잠금장치 관련 부품을 연간 수천만 엔(약 수억 원) 규모로 수입하고 있는데 한국이 수출 규제를 강화할 것을 우려해 지난달부터 두 달 치 재고를 확보하기 위해 평소보다 앞당겨 수입하기 시작했다.

도프레는 차의 골격 부품에 사용되는 접합용 부품을 한국 업체로부터 공급받고 있는데 2∼3개월 치를 미리 수입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일본 재무성에 따르면 일본은 지난해 한국으로부터 785억 엔(약 8천626억 원) 규모의 자동차 부품을 수입하고 한국에 701억 엔(약 7천703억 원)어치를 수출했다.

닛케이는 만약 수출 규제 강화가 자동차 분야까지 확대하면 수출입 절차에 시간이 걸릴 가능성이 있고 중국 등으로부터 수입할 수 있는 부품도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공급 업체 변경에도 시간이 걸린다고 양국 업계가 재고 물량을 확대하는 배경을 설명했다.

(연합뉴스/사진=현대차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