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국제유가, 사우디 '이달말 생산 정상화'에 하락…WTI 5.7%↓

세계 최대 원유수출국인 사우디아라비아 국영 석유회사 아람코의 원유시설 2곳에 대한 드론(무인기) 공격으로 폭등했던 국제유가가 하락 반전하며 다소 진정세를 보였습니다.

현지 시간 17일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10월 인도분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전날보다 배럴당 5.7%(3.56달러) 하락한 59.34달러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런던 ICE 선물거래소의 브렌트유 11월물도 오후 2시40분 현재 배럴당 6.56%(4.53달러) 떨어진 64.49달러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WTI 10월 인도분은 전날 14.7% 폭등, 2008년 12월 이후 약 11년 만의 '퍼센트 기준, 하루 최대폭'의 상승을 기록했었습니다.

브렌트유도 전날 역대 최고 수준인 19.5%까지 오르기도 했습니다.

국제 유가 진정세에는 압둘 아지즈 빈 살만 사우디 에너지장관이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피격으로 생산 중단된 원유 물량 가운데 약 50%의 생산을 회복했다면서 이달 말까지는 생산이 완전히 정상화될 것이라고 밝힌 것이 영향을 줬다는 분석입니다.

지난 14일 드론 공격으로 사우디의 아브카이크와 쿠라이스의 원유 설비가 가동을 멈추면서 사우디는 하루 평균 570만 배럴가량의 원유 생산이 감소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는 사우디 하루 산유량의 절반이자, 전 세계 산유량의 5%에 해당합니다.

예멘 후티 반군이 자신들의 소행임을 자처한 가운데 미국은 후티 반군을 지원하는 이란을 배후로 의심하고 있습니다.

트럼프 미 대통령의 다소 '절제된' 메시지도 유가 진정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백악관에서 기자들에게 이란이 배후에 있을 가능성에 대해 "지금 시점에서는 확실히 그렇게 보인다"고 밝힌 뒤 "우리는 누구보다 준비돼 있다. 미국은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군대를 갖고 있다"면서도 "우리는 확실히 그것(전쟁)을 피하고 싶다"고 말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