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폐사율 최대 100%' 아프리카돼지열병, 백신·치료제 없어

'폐사율 최대 100%' 아프리카돼지열병, 백신·치료제 없어
국내에서도 결국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발생이 확인되면서 양돈 농가의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아프리카돼지열병은 폐사율이 최대 100%에 이르는 무서운 돼지 전염병입니다.

아직 백신이나 치료 약도 개발되지 않아, 발병국에서는 대대적인 돼지 살처분이 뒤따랐습니다.

다만 사람에게는 전염되지 않는 질병입니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아프리카돼지열병은 바이러스에 의해 발병하며 출혈과 고열이 주 증상입니다.

고열과 혈액성 설사 등이 동반되는 심급성·급성형은 발병 후 1~9일 중 폐사하며, 폐사율은 최대 100%에 달합니다.

급성형보다 증상이 덜한 아급성형은 발병 후 20여 일쯤 뒤 폐사하며, 폐사율은 30~70% 수준입니다.

발육 불량과 폐렴 등 증상이 나타나는 만성형은 폐사율이 20% 미만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현재 가축전염병 예방법상 제1종 법정전염병으로 지정돼 있지만, 아직 사용 가능한 백신이 개발되지 않았습니다.

때문에 외국 발생국에서는 100% 살처분 정책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앞서 올해 5월 북한 자강도에서도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발생해, 사육 중인 돼지 99마리 가운데 77마리는 폐사했고, 22마리는 살처분됐습니다.

아프리카돼지열병이 창궐한 중국에서는 올해 들어 몇 개월 만에 전체 돼지의 20%가량이 살처분됐습니다.

아프리카돼지열병은 감염된 돼지 및 돼지 생산물의 이동, 오염된 남은 음식물의 돼지 급여, 야생멧돼지 등을 통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잠복기는 3일에서 최장 21일입니다.

외국 사례로 볼 때 장거리 전파에는 남은 음식물이 주요 경로로 파악되며, 근거리 전파에는 야생멧돼지에 의한 사례가 많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정부는 북한에서 발생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야생멧돼지를 통해 국내로 전파될 수 있다고 보고 그동안 남북 접경지역 내 모든 양돈 농가에 야생멧돼지 포획 틀과 울타리 시설을 설치해 대비해왔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