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급증하던 서울 주택 증여, 올들어 감소…작년 대비 25% 줄어

급증하던 서울 주택 증여, 올들어 감소…작년 대비 25% 줄어
지난해까지 급증하던 주택 증여가 올해 들어 다소 줄어드는 분위깁니다.

특히 최근 증여 열풍을 주도했던 서울 강남의 증여가 급감했습니다.

국토교통부와 한국감정원이 공개한 주택 거래통계를 보면 올해 1∼7월 서울의 주택 증여 건수는 모두 1만 1천236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1만 5천63건보다 25.4% 감소했습니다.

같은 기간 경기도와 인천이 각각 16.4%, 26% 증가하고, 대구 10.7%·대전 18.2%·광주광역시 39.9% 등 다른 지역의 증여는 늘어났습니다.

지난 7월까지 전국의 주택 증여 건수는 모두 6만 3천665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6만 4천238건보다 불과 1.8% 줄어든 것과 비교해도 서울의 감소폭이 상대적으로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특히 강남 4구의 전반적인 감소세가 두드려졌습니다.

강남구는 지난해 7월까지 증여 건수가 1천762건에 달했지만 올해는 959건으로 45.6% 줄었습니다.

송파구는 지난해 1천380건에서 올해 734건으로 46.8% 줄어 강남구보다도 감소폭이 더 컸습니다.

또 서초구는 지난해 1천594건에서 올해 957건으로 39.9%, 강동구는 지난해 1천32건에서 올해 665건으로 35.6% 각각 감소했습니다.

서울에서 주택 증여가 가장 많이 줄어든 곳은 영등포구로 지난해 1천115건에서 올해 288건으로 73.2% 급감했습니다.

주택 등 부동산 증여는 지난해까지 3년 연속 사상 최대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부동산 가격이 크게 오른 서울지역에서 증여가 활발하게 이뤄진 영향이 컸습니다.

지난해 분양한 강남구 개포동 '디에이치 자이'처럼 분양가가 낮아 시세차익이 큰 신규 분양 아파트에서는 추후 양도소득세를 줄이기 위해 당첨자의 이름을 부부 공동명의로 바꾸는 무더기 증여가 일어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올해 들어 증여가 감소한 것은 지난해 발표된 9·13대책의 대출 강화에 따라 자녀 등에게 전세금이나 주식담보대출을 끼고 소유권을 넘기는 '부담부 증여'가 어려워진 영향이 큰 것으로 보입니다.

올해도 다주택자 종합부동산세 중과 조치로 절세 목적의 증여는 계속되고 있지만 지난해 집값 과열기와 비교해 신규 취득을 동반한 증여는 눈에 띄게 감소한 겁니다.

9·13대책 등 정부 규제로 올해 상반기까지 서울 집값이 하락하며 예년보다 매수세가 크게 위축된 영향도 큽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