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8월에 값 47% 폭등…中 큰 고민, 무역전쟁보다 '돼지고기 파동'

8월에 값 47% 폭등…中 큰 고민, 무역전쟁보다 '돼지고기 파동'
▲ 위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습니다

중국의 돼지고기 가격 폭등이 미국과의 무역전쟁, 홍콩 시위를 제치고 중국 정부의 최대 현안으로 떠올랐다고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보도했습니다.

이 보도에 따르면 아프리카돼지열병 발병으로 생산량이 급감한 결과 지난달 중국 돼지고기 가격은 작년 동기 대비 46.7% 폭등했습니다.

이는 7월 상승률 27%보다 두 배 가까이 높은 상승률입니다.

아프리카돼지열병은 돼지에서 생기는 바이러스성 출혈성 열성 전염병입니다.

지난해 8월 중국 북부 랴오닝성의 한 농가에서 처음 발병한 후 9개월도 못 돼 중국 내 31개 성·직할시·자치구로 모두 퍼졌습니다.

중국은 전 세계 돼지고기 소비량의 절반을 차지하며, 이 가운데 95%를 국내에서 조달합니다.

중국의 '국민 육류'인 돼지고기 가격이 폭등하면서 중국 정부에도 비상이 걸렸습니다.

중국 행정부인 국무원은 어제(10일) 새로운 가이드라인을 발표하고 모든 중앙정부 부처와 각 지방정부가 돼지고기 증산에 총력을 기울일 것을 지시했습니다.

리간제 생태환경부 부장은 "돼지고기 공급 안정은 긴박한 정치 임무"라고 밝히고 각 지방정부에 양돈 농장 폐쇄 정책의 철회를 지시했습니다.

중국은 환경 보호를 위해 지난 수년 간 수십 만 개의 양돈 농장을 폐쇄했으나, 이제 돼지고기 증산을 위해 이 정책을 철회하기로 한 것입니다.

국가발전개혁위원회는 양돈 농장이 확장이나 시설 개선에 나설 경우 최대 500만 위안( 8억 4천만 원)의 보조금을 제공하기로 했습니다.

장쑤성은 2022년까지 돼지고기 생산량을 600만t 이상 늘리겠다고 밝혔으며, 양돈 중심 지역인 산둥성은 중국 전역에 돼지를 공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돼지고기 파동 대응은 후춘화 부총리가 진두지휘하고 있습니다.

10월 1일 신중국 건국 70주년을 눈앞에 둔 상황에서 민심이 이탈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후 부총리가 맡은 이 임무가 무역전쟁을 맡은 류허 부총리, 홍콩 시위를 맡은 한정 부총리보다 더 막중하다는 얘기도 나옵니다.

지난주 중국 최대 검색엔진 바이두에서 가장 많이 검색된 단어는 미·중 무역전쟁도, 홍콩 문제도 아닌 바로 '돼지고기'였습니다.

돼지고기 검색 건수는 무역전쟁 검색 건수의 69배에 달했습니다.

후 부총리는 헤이룽장과 쓰촨 등 중국 전역의 양돈 농장 등을 순시하면서 돼지고기 증산과 가격 안정을 독촉하고 있습니다.

후 부총리는 당시 회의에서 "돼지고기의 충분한 공급을 확보하는 것은 경제 문제일 뿐 아니라 긴박한 정치 임무"라며 "돼지고기 공급이 충분하지 못한다면 샤오캉(중산층) 사회 달성에 심각한 영향을 끼치고, 당과 국가의 이미지에 손상을 입힐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중국은 2020년까지 모든 국민이 편안하고 풍족한 생활을 누리는 샤오캉 사회를 건설하는 것을 국가 과제로 삼고 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