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대통령 개별 기록관 짓는다…2022년 문 대통령기록관 개관

대통령 개별 기록관 짓는다…2022년 문 대통령기록관 개관
▲ 세종시에 있는 대통령기록관

정부가 현재 세종시에 있는 대통령기록관 외에 대통령별 기록관을 따로 설립합니다.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은 퇴임한 대통령 관련 기록물을 보관하는 개별 대통령기록관을 설립하기로 했다고 10일 밝혔습니다.

문재인 대통령 기록관이 첫 사례로, 172억 원을 들여 3천㎡ 규모로 지어지며, 퇴임에 맞춰 2022년 5월 개관을 목표로 합니다.

내년 예산안에 부지매입 비용 등 32억 원을 편성해 부산을 비롯해 문 대통령 사저가 있는 경남 양산에서 가까운 곳을 대상으로 부지를 물색합니다.

문재인 대통령 기록관에는 지정·비밀·일반 기록물 등 문서 자료가 주로 보관됩니다.

운영은 국가기록원이 맡으며 전문적인 보존·복원처리가 필요한 기록물은 현재처럼 세종시에 있는 통합 대통령기록관에서 관리합니다.

개별 대통령기록관은 2007년 제정된 '대통령기록물관리법'에 설립 근거가 마련돼있었습니다.

하지만 그동안에는 추진되지 않았다가 문재인 대통령 기록관을 처음으로 만들게 됐습니다.

국가기록원은 현 대통령기록관 공간 부족, 전임 대통령의 기록물 열람권 보장과 이를 통한 적극적인 기록물 이관·보존 유도 필요성을 고려해 개별 대통령기록관 설립을 추진하게 됐다고 설명했습니다.

대통령 재임 기간에 나오는 기록물이 점점 늘어나는 데다 현재 세종시에 있는 통합 대통령기록관의 서고 사용률이 83.7%에 달해 보존시설 확충이 불가피하다는 것입니다.

국가기록원 관계자는 "현재 통합 대통령기록관의 추가 수용 능력은 대통령 한두 명 분량 정도에 불과해 사실상 포화상태"라고 말했습니다.

개별 대통령기록관을 만들면 퇴임한 대통령이 기록물 열람을 더 쉽게 열람할 수 있다는 점도 고려했다고 국가기록원은 설명했습니다.

지정기록물처럼 원칙적으로 전임 대통령만 열람 가능한 기록물의 경우 통합 대통령기록관에 넘기기보다 사저 인근 개별 기록관에서 관리하도록 하면 대통령들이 더 적극적으로 기록물을 남기고 활용하게 된다는 논리입니다.

국가기록원은 개별 대통령기록관을 만들면 2008년 노무현 전 대통령 퇴임 직후 벌어진 '국가기록물 유출사건' 같은 사례도 나오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당시 노 전 대통령 측이 참여정부의 청와대 기록물 사본을 봉하마을로 가져간 것이 논란이 되자 검찰이 수사를 벌였습니다.

노 전 대통령 측은 "기록물 열람권이 보장되지 않아 사본을 가져온 것"이라며 정치공세라고 반박했습니다.

대통령기록관은 2007년 성남 나라기록관에 처음 문을 열었고 2015년 세종시에 신청사를 준공해 이듬해 개관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