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병원서 내몰린 암 환자 400명…국립암센터 18년 만에 첫 파업

병원서 내몰린 암 환자 400명…국립암센터 18년 만에 첫 파업
국립암센터가 2001년 개원 이후 18년 만에 처음으로 파업 절차에 들어가며, 수백 명의 암 환자들이 병원에서 내몰리고 외래진료 등에도 차질이 빚어졌습니다.

국립암센터노조는 어제(6일) 오전,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에 있는 국립암센터 본관 1층 로비에서 노조원 500여 명이 참가한 가운데 파업 출정식을 진행했습니다.

이번 파업에는 암 센터 전체 직원 2,800여 명 가운데 노조원 1,000명 정도가 참여했습니다.

● 병원서 내몰린 암 환자 400여 명

이번 파업으로 퇴원하거나 다른 병원으로 옮겨진 환자는 입원환자 540여 명 중 400명이 넘는 걸로 파악됐습니다.

노조가 파업에 대비해 지난 2일, 병원 측에 환자 안전조치를 요청했고 병원 측 권고로 환자들은 동국대 일산병원과 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등 전국 11개 대학병원 등으로 옮기거나 퇴원했습니다.

어제 암 센터를 찾은 외래 환자 수는 630명으로, 평소 금요일 외래 환자 1,200여 명의 절반 수준으로 줄었습니다.

암 센터에 입원한 환자는 현재 130여 명 정도로 알려졌습니다.

● 항암주사실 등 필수인력 유지 범위서 제외…왜?

의료기관은 파업기간에도 필수인력을 유지해야 합니다.

지난해 서울대병원이 파업했지만 환자 급식 등에 영향을 받았을 뿐 진료에는 큰 영향이 없었습니다.

하지만, 국립암센터의 경우 암 환자를 주기적으로 치료해야 하는 항암주사실, 방사선치료실 등이 필수 인력 유지 범위에서 제외됐습니다.

노조가 다른 병원보다 늦은 지난해 결성돼 새로운 '필수유지업무 범위 가이드라인'의 적용을 받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노조원 상당수가 빠져나간 항암 주사실, 방사선 치료실 등은 차질이 불가피한 상황입니다.

파업기간 인력을 모두 유지해야 하는 곳은 중환자실과 응급실뿐입니다.

● 암센터노조 "시간외수당 별도 지급" 요구

노조가 파업을 하는 건 임금협상 결렬 때문입니다.

앞서 국립암센터는 지난해 설립된 노조와 사측 간 올해 임금단체협상이 결렬되면서 노조가 어제(6일) 오전 6시부터 파업에 돌입했습니다.

노조 측은 전년 대비 시간외수당을 임금과 별도로 지급하라고 요구하고 있지만, 병원 측은 시간외수당까지 모두 포함해서 총액을 1.8% 인상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이에 대해 암센터 측은 "노조가 파업에 들어갔지만 진료 공백이 없도록 비상근무체계를 가동했다"며 "합리적인 협의안을 이끌어 내겠다"고 밝혔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