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올해 온 태풍 중 가장 커…'위험반원' 서해안 남해안 주의

<앵커>

기상 분야 담당하는 정구희 기자와 함께 지금 태풍 상황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정 기자, 이여진 캐스터 설명 통해서 들었습니다만 지금 어디까지 태풍의 영향권에 들어있다 이렇게 볼 수 있는 건가요?

<기자>

일단 태풍특보가 내려진 지역이 태풍 직접 영향권이다 보실 수가 있겠는데요. 우선 제주도 그리고 남부지방, 충남 서해안 정도까지입니다.

그런데 화면에서 보시다시피 지금 제주도 쪽은 상황이 심각하고, 전남이나 광주 쪽은 아직은 상황이 그렇게 심각한 쪽은 아닌데 태풍이 금방 다가서고 있습니다.

지금 태풍이 제주도 서귀포 서남서쪽 170km까지 다가왔거든요. 그런데 태풍의 반경은 이것의 2배인 390km입니다.

이 말은 즉 지금 제주도는 태풍 안에 들어있는 것으로 보시면 되겠고 태풍이 북상하면서 점점 더 내륙 쪽에 가까워 질 것입니다.

지금 제주도 같은 경우에는 피해가 심각한데, 8시부터 이미 항공기는 거의 모두 결항이 됐고 아까 2천300~2천500여 가구는 이미 정전 피해가 발생했다고 하고 피해 집계가 계속 늘어나는 상황입니다.

해안 도로 같은 경우도 유실돼서 피해도 늘어날까 생각됩니다.

<앵커>

조금 전에 같이 봤습니다만 제주도에서는 중계하는 기자가 몸을 가누기 힘들 만큼 강풍이 세던데 어느 정도입니까, 이게?

<기자>

아까 11시 저희가 특보를 전해드릴 때보다 태풍이 더 강해졌는데요.

직위도에는 초속 3.5m의 강풍이 불었습니다. 시속으로 따지면 131km 정도에 해당하는 거고고 앞으로 더 강해질 수가 있습니다.

비 같은 경우에도 한라산 윗새오름에는 236mm가 왔고 사제비에도 213mm 정도 많은 비가 내렸고, 한라산 같은 경우에는 내일까지 400mm 정도 비가 더 내릴 것입니다.

제주도는 다른 지역보다 이런 비바람이 강하다고 알려져 있는데, 사실 초속 30m가 넘으면 성인 남성이 서 있기도 힘든 정도의 바람입니다.

<앵커>

이번 태풍이 크기도 크다면서요?

<기자>

그렇습니다. 사실 크기는 중급으로 분류가 되는데 태풍은 반경이 300m가 넘어가면 중급, 500이 넘어가면 대형 그리고 800이 넘어가면 초대형으로 분류가 됩니다.

그런데 지금 300km가 중형급이지만 올해 우리나라에 찾아왔던 태풍 중에는 가장 큰 것입니다.

그런데 한반도에 지금 들어왔을 때가 300km 정도 되는데 사실 이것보다 원래 더 크고 강한 태풍이었습니다.

원래 태풍 같은 경우에는 27도 정도의 고수온역, 따뜻한 바다를 지나면서 세력을 키우는데요. 타이완 부근을 지날 때 이미 29도의 고수온역을 한번 지나왔었고요.

그리고 우리가 흔히 기상학에서 발산역이라고 하는데, 상층에서 공기를 빨아들이는 지역이 존재합니다.

이 지역을 한 번 통과하게 되면 태풍이 굉장히 강하게 발달하는데 발산역을 한 번 거쳐 오면서 태풍이 매우 강한 중형급 태풍으로 발달했었습니다.

<앵커>

그렇군요. 이번 태풍이 우리한테 큰 피해를 줬던 태풍 볼라벤이랑 경로도 비슷하다면서요?

<기자>

그렇습니다. 2012년도에 볼라벤도 서해상을 관통을 했는데요. 볼라벤이 역대 네 번째로 많은 피해를 남긴 태풍입니다.

그런데 볼라벤 때도 주목할 점이 볼라벤 자체는 서해상으로 진출했지만 남해상에도 피해가 많이 발생했습니다.

지금도 그 남해 섬들 지역에서는 굉장히 바람이 강하게 불고 있는데요.

태풍의 오른쪽은 태풍의 진로와 바람이 부는 방향이 일치해서 위험반원이라고 부릅니다. 그만큼 강한 바람이 부는데 남해안 같은 경우에는 이 태풍의 직격탄을 맞게 되는 겁니다.

그래서 태풍은 비록 서해안으로 가지만 남해와 서해 모두 바람이 강하게 불 것으로 예상이 되니까, 이 지역에서는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를 하셔야겠고, 볼라벤 당시에도 완도에 초속 51m, 지금 아까 말씀드린 36m보다 훨씬 강한 바람입니다.

<앵커>

시속으로 따지면 200km 넘는 거죠?

<기자>

네, 200km 정도 되는 바람입니다.

<앵커>

태풍의 이동속도 역시 빨라졌다던데 빨라지면 더 위험한 것입니까?

<기자>

일단 아까 태풍, 11시에 전해드릴 때는 태풍의 속도가 시속 33km 정도로 북쪽으로 올라가고 있었는데 지금은 41km로 더 늘었습니다.

이 정도 속도면 오늘 새벽 2시 정도에는 제주도 서쪽을 지날 것 같고요. 그리고 6시 정도 되면 흑산도를 지나겠고 12시 정도가 되면 태안 쪽 지나겠습니다.

수도권인 서울 쪽과 가장 가까운 시간은 오후 3시 정도로 생각이 됩니다.

그런데 이제 태풍 반경이 아까 말했듯이 390km가 되니까 사실 태풍이 접근하는 것보다 더 먼저 비바람의 영향이 시작될 거니까 그 점은 생각을 하셔야겠고요.

그리고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속도가 조금 빨라지면 다행히 좀 피해는 줄어들 수는 있습니다.

왜냐하면 태풍이 느리면 느릴수록 피해 시간이 길어져서 강한 집중 호우가 내리는 경우가 있거든요.

그래서 속도가 조금 빨라지는 것은 그나마 방재 관점에서는 피해가 조금은 줄어들 수 있는 거라고 볼 수가 있겠습니다.

<앵커>

그나마 다행이라고 볼 수 있겠네요. 바람은 바람이고 지금 비는 또 언제까지 내립니까?

<기자>

지금 태풍의 본 비가 있고 그 앞에 떨어져 나온 비구름으로 인해서 앞에는 비가 내리고 있는 거거든요.

그래서 아까 말씀드린 것처럼 전남이나 이쪽은 비가 강하지는 않은데 제주도 쪽은 굉장히 강하죠.

이렇게 태풍이 올라와서 태풍이 직접 비구름의 영향에 들어가면 굉장히 비가 강하게 내립니다.

지금 오늘 남해안에 100~200mm 그리고 충남 서해안과 호남에는 100~150mm, 그리고 서울 등 중부지방에서 100mm의 비가 내릴 것 같고, 내일 일요일 새벽에 비가 그칠 것 같습니다.

<앵커>

이 비 피해도 많이 조심을 해야겠군요. 이번 태풍이 가을 태풍인데 가을 태풍이 더 위험한 이유가 있다면서요 .

<기자>

역대 가장 많은 피해를 남긴 2002년 태풍 루사와 2003년 매미, 두 태풍이 4조 원에서 5조 원 정도의 피해를 냈는데요. 이때 두 태풍 모두 가을 태풍이었습니다.

그리고 3년 전인 2016년에는 태풍 차바가 남해안을 휩쓸고 지나가기도 했는데요.

이 북태평양 고기압이라고 하는 폭염의 원인이 되는 고기압이 원래는 한반도 지역을 굳건히 버티고 있기 때문에 여름철에는 사실 태풍이 직접적으로 중부지방까지 올라오는 경우는 잘 없습니다.

그런데 북태평양 고기압이 여름이 끝나면서 일본 쪽으로 내려가고, 그만큼 날씨는 시원해 졌지만 태풍을 막아줄 만한 기단이 전혀 없는 겁니다.

그래서 태풍의 직격탄을 맞을 가능성이 있고 다행히 중부지방으로 들어오지는 않지만 서해상으로 들어오면서 우리나라 전반적으로 피해가 발생할 것 같습니다.

<앵커>

어쨌든 단단히 준비를 해야겠군요. 정 기자 고생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